명리학의기초.통변

[스크랩] 지지론(地支論)

myunam 2012. 5. 25. 01:45

지지론(地支論) 


십이지지(十二地支)

 

지지는 땅으로서 땅의 기와 함께 땅에 존재하는 모든 물질을 포함하고,

방향과 계절, 물체 등을 상징하고 있으며

특히 쥐띠, 소띠라고 할 때의 열 두 종류의 동물을 상징하고 있다.

지지에는 또 천간이 암장되어 있으니 이를 지장간(支藏干)이라고 한다.

 

지지의 음양을 보면 천간과 같은 방법으로 음양의 구분이 되어 있는데

인진사신술해(寅辰巳申戌亥)는 양이고,

자축묘오미유(子丑卯午未酉)는 음이 된다.

 

 

                                           

천간의 관계 분석

 

다음은 천간 각각에 대한 관계와 의미이다.

 

자수(子水) - 겨울의 중간

 

① 글자상징

子라고 하는 것은 만물자우하(萬物滋于下)라,

여기에서 자(滋; 자랄 자)는 낳아 기른다라는 의미가 있으니

이는 양기가 처음 생기기 시작하여 그 싹을 낳게 됨을 상징한 것이다.


② 상징성

 

자수(子水)는 음수(陰水)

순수한 물

계절로는 11월

동물로는 쥐

 

③ 지장간의 월률분야 - 壬 ; 10일(大雪부터 10일까지)

                                   癸 ; 20일(11일부터 30일까지)

 

- 壬水의 의미 ; 전월의 여기(餘氣)로 수질(水質)에 해당

 

- 癸水의 의미 ; 본기(本氣)로 순수한 수기(水氣)에 해당

 

④ 五行의 상황

   

木의 상태 ; 휴식에 들어가 있는 상황, 화가 있으면 생동감이 있다.

   

火의 상태 ; 가장 약한 최악의 상황

   

土의 상태 ; 얼어서 맥이 없는 상황

   

金의 상황 ; 물 속에 얼어 있는 상황

   

水의 상태 ; 가장 왕성한 상황

 

축토(丑土) - 겨울에서 봄으로 가는 환절기로 기온변화가 심한 시기

 

① 글자상징

丑이라고 하는 것은 유아우축(紐芽于丑)이라,

이는 싹(芽; 싹 아)을 맺는다는 의미로,

이는 점점 양기가 움직임으로써

만물이 어린 싹을 맺어 땅을 헤치고 나옴을 상징한 것이다.

 

② 상징성

축토(丑土)는 음토(陰土)

습기를 머금은 상태

계절은 12월

동물로는 소

 

③ 지장간의 월률분야 -  癸 ; 9일(小寒부터 9일까지)

                                    辛 ; 3일(10일부터 12일까지)

                                    己 ; 18일(13일부터 30일까지)

 

- 癸水의 의미 ; 전월의 여기(餘氣)로 수기(水氣)를 의미한다.

 

- 辛金의 의미 ; 금(金)이 강한 계절과 수(水)가 강한 계절에

                      금(金)의 역할이 끝난 신금(辛金)은

                      금의 정기가 압축된 상태로 창고에 저장되어

                      자신의 계절이 올 때까지 기다린다.

                      또한 다가오는 목(木)이 강한 계절에

                      금(金)을 보호한다는 의미도 있다.

 

- 己土의 역할 ; 본기(本氣)로서 오행의 변화를 유도하고 조절한다.

 

④ 五行의 상황

   

木의 상태 ; 다가올 자신의 시기를 마지막으로 기다리는 상황

   

火의 상태 ; 한참 더 기다려야 되는 상황

   

土의 상태 ; 자신의 계절이라 세력은 얻었지만 화가 있어야 되는 상황

   

金의 상황 ; 다른 오행에 비해 생의 기운을 잘 받는 상황

   

水의 상태 ; 대지가 꽁꽁 얼어붙어 있는 상황


 

인목(寅木) - 봄의 시작

 

① 글자상징

寅이라고 하는 것은 만물시생인연야(萬物始生螾然也)라,

여기에서 인(螾; 지렁이 인)은 지렁이가 움직이는 모습과 같이

양기가 처음으로 발생하여 만물이 움직이기 시작함을 상징한 것이다.

 

② 상징성

 

인목(寅木)은 양목(陽木)

연약하고 어린 나무

계절은 1월

동물로는 호랑이

 


③ 지장간의 월률분야 - 戊 ; 7일(立春부터 7일까지)

                                   丙 ; 7일(8일부터 14일까지)

                                   甲 ; 16일(15일부터 30일까지)

 


  

- 戊土의 의미 ; 전월의 여기(餘氣; 己土가 생략)

  

- 丙火의 의미 ; 火의 기운이 발생하는 시기

  

- 甲木의 의미 ; 본기(本氣)로서 목질(木質)에 해당

 


④ 五行의 상황

   

木의 상태 ; 나무가 나무를 만나 왕한 상황

   

火의 상태 ; 나무의 생을 받아 강한 상황

   

土의 상태 ; 나무의 뿌리를 잡아 주느라 힘든 상황

   

金의 상태 ; 환경이 매우 불리한 상황

   

水의 상태 ; 나무에게 기운을 빼앗겨 힘이 없는 상황


 

  묘목(卯木) - 완연한 봄

 


 ① 글자상징

卯라고 하는 것은 언만물무야(言萬物茂也)라,

이는 만물이 위에서 덮고 있는 흙을

무릅쓰고 밖으로 솟아 나오는 모습을 상징한 것이다.

 

 ② 상징성

 

묘목(卯木)은 음목(陰木)

순수한 나무

계절로는 2월

동물로는 토끼.

 


 ③ 지장간의 월률분야 - 甲 ; 10일(驚蟄부터 10일까지)

                                    乙 ; 20일(11일부터 30일까지)

 


    

- 甲木의 의미 ; 전월의 여기(餘氣)로 목질(木質)

    

- 乙木의 의미 ; 본기(本氣)로 순수한 목기(木氣)에 해당

 


 ④ 五行의 상황

   

木의 상태 ; 상당히 왕성한 힘이 있는 상황

   

火의 상태 ; 상당히 강해지는 상황

   

土의 상태 ; 허약해 질대로 허약해져 있는 상황

   

金의 상태 ; 활동하지 말아야 되는 상황

   

水의 상태 ; 기운을 빼앗겨 쉬어야 되는 상황


 

   진토(辰土) - 봄에서 여름으로 가는 환절기로 기온변화가 심한 시기

 


 ① 글자상징

辰이라고 하는 것은 만물지진야(萬物之蜄也)라,

이는 만물이 움직이고(蜄; 움직일 진) 펴진다(伸; 펼 신)는 의미로

만물이 활짝 펴고 지상으로 나오는 모습을 상징한 것이다.

 


 ② 상징성

 

진토(辰土)는 양토(陽土)

나무가 좋아하는 옥토

계절로는 3월

동물로는 용에 해당된다

 


 ③ 지장간의 월률분야 - 乙 ; 9일(淸明부터 9일까지)

                                    癸 ; 3일(10일부터 12일까지)

                                    戊 ; 18일(13일부터 30일까지)

 


    

- 乙木의 의미 ; 전월의 여기(餘氣)로 생명력을 의미

    

- 癸水의 의미 ; 수(水)가 왕한 계절과 목(木)이 왕한 계절에

                        수(水)의 역할이 끝난 癸水는 

                        수의 정기가 압축된 상태로 창고에 저장되어

                        수의 계절이 올 때까지 기다린다.

                        또한 다가오는 화기(火氣)가 왕성한 계절에

                        물의 증발을 막고 보호하는 의미도 있다.

    

- 戊土의 의미 ; 본기(本氣)로서 오행의 변화를 유도하고 조절한다.

 


 ④ 五行의 상황

   

木의 상태 ; 뿌리내리기는 좋으나 활동이 제한적인 상황

   

火의 상태 ; 여름철을 앞두고 쉬어야 되는 상황

   

土의 상태 ; 같은 토이므로 웬만하면 산을 이룰 만큼 강한 상황

   

金의 상태 ; 습기가 있어 토생금이 잘 되는 상황

   

水의 상태 ; 약간의 의지할 곳은 되나 허약한 상황

 


 

   사화(巳火) - 봄과 여름의 중간으로 양기(陽氣)가 극에 도달한 초여름

 


① 글자상징

 

巳라고 하는 것은 양기지이진(陽氣之已盡)이라,

이는 그치다(已; 그치다 이)라는 의미가 있으니

이는 양기의 왕성함이 극에 달하여

만물이 왕성하게 자라나는 모습을 상징한 것이다.

 

 ② 상징성

 

사화(巳火)는 양화(陽火)

병화(丙火)의 뿌리

계절로는 4월

동물로는 뱀

 


 ③ 지장간의 월률분야 - 戊 ; 7일(立夏부터 7일까지)

                                    庚 ; 7일(8일부터 15일까지)

                                    丙 ; 16일(16일부터 30일까지)

 


   

- 戊土의 의미 ; 전월의 여기(餘氣)

   

- 庚金의 의미 ; 금의 기운이 발생하는 시기

   

- 丙火의 의미 ; 본기(本氣)로서 화질(火質)에 해당

 


 ④ 五行의 상황

   

木의 상태 ; 허약하여 물이 필요한 상황

   

火의 상태 ; 왕성한 힘을 축적하고 있는 상황

   

土의 상태 ; 왕성하게 힘을 받고 있는 상황

   

金의 상태 ; 편안하지 않은 상황

   

水의 상태 ; 증발되기 직전의 상황

 


 

  오화(午火) - 한 여름

 


 ① 글자상징

 

午라고 하는 것은 음양교왈오(陰陽交曰午)라,

이는 바뀐다(交; 교차할 교)는 의미로

양(陽)이 극에 도달하면 음(陰)이 생기듯이

만물의 성장이 극에 도달하여 형체가 번성해짐을 상징한 것이다.

 

 ② 상징성

오화(午火)는 음화(陰火)

불기운

계절로는 5월

동물로는 말

 


 ③ 지장간의 월률분야 - 丙 ; 10일(芒種부터 10일까지)

                                    己 ; 9일(11일부터 19일까지)

                                    丁 ; 11일(20일부터 30일까지)

 


   

- 丙火의 의미 ; 전월의 여기(餘氣)

   

- 己土의 의미 ; 丙丁火의 강력한 폭발성분을 흡수하는 완충작용

   

- 丁火의 의미 ; 본기(本氣)로서 화기(火氣)에 해당

 


  ④ 五行의 상황판단

    

木의 상태 ; 열기에 시들 수 있어 물이 필요한 상황

    

火의 상태 ; 화기가 절정에 이른 상황

    

土의 상태 ; 화기로 물이 필요한 상황

    

金의 상태 ; 나서면 녹아 버릴 수 있는 상황

    

水의 상태 ; 증발되기 쉬운 상황


 

   미토(未土) - 여름에서 가을로 가는 환절기로 기온변화가 심한 시기

 


 ① 글자상징

 

未라고 하는 것은 만물개성유자미야(萬物皆成有滋味也)라,

이는 맛(味;  맛 미)의 의미가 있으니

만물이 성숙하여 각각 독특한 맛을 갖추게 됨을 상징한 것이다.

 

② 상징성

 

미토(未土)는 음토(陰土)

열기가 있는 건조한 토

계절로는 6월

동물로는 양이 해당

 


 ③ 지장간의 월률분야 - 丁 ; 9일(小暑부터 9일까지)

                                    乙 ; 3일(10일부터 12일까지)

                                    己 ; 18일(13일부터 30일까지)

 


    

- 丁火의 의미 ; 전월의 여기(餘氣)로 화기(火氣)를 의미한다.

    

- 乙木의 의미 ; 목(木)이 강한 계절과 화(火)가 왕한 계절에

                      목(木)의 역할이 끝난 을목(乙木)은

                      목의 정기가 압축된 상태로 저장되어

                      목의 계절이 올 때까지 기다린다.

                      또한 다가오는 금이 강한 계절에

                      목을 보호하는 의미도 있다.

     

- 己土의 역할 ; 본기(本氣)로서 오행의 변화를 유도하고 조절한다.

 


  ④ 五行의 상황판단

    

木의 상태 ; 수가 도와주기만 한다면 뿌리를 뻗을 수 있는 좋은 상황

    

火의 상태 ; 시들어 가는 상태지만 아직은 화력이 있는 상황

    

土의 상태 ; 사계절 중 가장 왕성한 세력을 가지고 있는 상황

    

金의 상태 ; 건조한 토로부터 생을 받을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

    

水의 상태 ; 수기가 증발되기 쉬운 최악의 상황


 

    신금(申金) - 서서히 서늘해지는 초가을

 


 ① 글자상징

 

申이라고 하는 것은 음용사신적만물(陰用事申賊萬物)이라,

이는 물리치며(斥; 물리칠 척) 상하게 하다(賊; 상할 적)라는 의미가 있으니 가을의 기운이 만물을 거두어들이는 것을 상징한 것이다.

 


② 상징성

 

신금(申金)은 양금(陽金)

단단함

계절로는 7월

동물로는 원숭이

 


 ③ 지장간의 월률분야 - 己戊 ; 7일(立秋부터 7일까지)

                                       壬 ; 7일(8일부터 14일까지)

                                       庚 ; 16일(15일부터 30일까지)

 


     - 己戊土의 의미 ; 전월의 여기(餘氣)로,

                               기무(己戊)가 있는 것은

                               6월에서 7월로 넘어 갈 때

                               기운의 변화가 매우 심하게 있기 때문.

    

- 壬水의 의미 ; 水의 기운이 발생하는 시기

    

- 庚金의 의미 ; 본기(本氣)로서 금질(金質)에 해당

 


 ④ 五行의 상황판단

   

木의 상태 ; 서늘한 기운으로 기운이 빠져 버틸 힘이 없는 상황

   

火의 상태 ; 아무리 화라도 목의 도움이 필요한 상황

   

土의 상태 ; 기운이 빠지니 화가 보충해 주면 좋을 상황

   

金의 상태 ; 자신의 계절로 결실이 맺으려는 상황

   

水의 상태 ; 금으로부터 기운을 받아 힘이 있는 상황


 

  유금(酉金) - 서늘한 기운으로 삼라만상이 시드는 시기

 


 ① 글자상징

 

酉라고 하는 것은 언만물지노야(言萬物之老也)라,

이는 성취하고 늙는다(老; 늙을 노)는 의미가 있으니

이는 만물이 성숙함에 따라서

기운이 점점 쇠퇴하게 되는 것을 상징한 것이다.

 


 ② 상징성

 

유금(酉金)은 음금(陰金)

단단함, 결실

계절로는 8월

동물로는 닭

 


 ③ 지장간의 월률분야 - 庚 ; 10일(白露부터 10일까지)

                                    辛 ; 20일(11일부터 30일까지)

 


   

- 庚金의 의미 ; 전월의 여기(餘氣)

   

- 辛金의 의미 ; 본기(本氣)로 금기(金氣)에 해당

 


 ④ 五行의 상황판단

   

木의 상태 ; 찬 서리로 인하여 목이 시드는 상황

   

火의 상태 ; 힘이 있는 불이 아니면 금을 다루지 못하는 상황

   

土의 상태 ; 힘을 빼앗겨 허해서 휴식을 취하고 있는 상황

   

金의 상태 ; 왕성하게 힘을 받고 있는 상황.

   

水의 상태 ; 금보다 더 강한 상황


 

 술토(戌土) - 가을에서 겨울로 가는 환절기로 기온변화가 심한 시기

 


 ① 글자상징

 

戌이라고 하는 것은 만물진멸(萬物盡滅)이라

이는 불이 꺼지듯이 없어진다(滅; 멸할 멸)라는 의미가 있으니

양기가 점점 미약해지면서 서서히 그 기운이 땅속으로 들어가듯이

만물의 성장이 다하였음을 상징한 것이다.

 


② 상징성

 

술토(戌土)는 양토(陽土)

건조하고 메마른 토

계절로는 9월

동물로는 개

 


 ③ 지장간의 월률분야 - 辛 ; 9일(寒露부터 9일까지)

                                    丁 ; 3일(10일부터 12일까지)

                                    戊 ; 18일(13일부터 30일까지)

 


   

- 辛金의 의미 ; 전월의 여기(餘氣)로 결실을 의미한다.

   

- 丁火의 의미 ; 화의 계절과 금의 계절에

                        화의 역할이 끝난 丁火는 정기가 

                        압축 된 상태로 저장되어

                        인월(寅月)의 계절이 올 때까지 기다린다.

                        또한 다가오는 수(水)가 강한 계절에

                        화(火)를 보호하는 의미도 있다.

   

- 戊土의 의미 ; 본기(本氣)로서 오행의 변화를 유도하고 조절한다.

 


 ④ 五行의 상황판단

   

木의 상태 ; 기운이 모두 단절된 상황

   

火의 상태 ; 기운이 소진된 상황

   

土의 상태 ; 다른 토의 도움을 받아야 가능할 상황

   

金의 상황 ; 가을에 축적된 에너지로 힘이 매우 상황

   

水의 상태 ; 金水의 협조가 필요한 상황


 

  해수(亥水) - 초겨울로 점점 추워지는 상황

 


 ① 글자상징

 

亥라고 하는 것은 양기장우하야(陽氣藏于下也)라,

이는 양기가 잠복하여 감추어지듯

만물들도 또한 감추어지게 됨을 상징한 것이다.

 

 ② 상징성

 해수(亥水)는 양수

계절로는 10월

동물로는 돼지

 


 ③ 지장간의 월률분야 - 戊 ; 7일(立冬부터 7일까지)

                                    甲 ; 7일(8일부터 14일까지)

                                    壬 ; 16일(15일부터 30일까지)

 


    

- 戊土의 의미 ; 전월의 여기(餘氣)

    

- 甲木의 의미 ; 木의 기운이 발생하는 시기

    

- 壬水의 의미 ; 본기(本氣)로서 수질(水質)에 해당

 


  ④ 五行의 상황판단

    

木의 상태 ; 잉태되어서 성장을 하는 상황

    

火의 상태 ; 불이 꺼질 지경으로 아무 것도 할 수 없는 상황

    

土의 상태 ; 얼어서 아무 힘도 없는 상황

    

金의 상황 ; 기운이 빠지는 입장으로 휴식해야할 상황

    

水의 상태 ; 전성기로 왕성한 힘을 발휘하는 상황

출처 : 구암등산카페
글쓴이 : 구암(具東寅)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