겁재(劫財)
성정
-형제, 이복형제,남편의 첩
-안하무인, 타인과의 시비,투쟁,다툼이 많다.
-교만하고 남을 낮춰보며 한탕주의적 근성, 투기성, 요행을 바라고
그로인해 손재,사업실패, 관재구설을 초래
-남의 재물을 탐하며 이기주의적이다.
-남녀공히 배우자를 극하고 형제,친구와 투쟁 불화를 일으킨다.
-편인이 생조하면-흉폭성이 강해지나 정관이 견제하면 다소 흉폭성이
줄어든다.
-겁재가 길신이면-솔직하고 가식이 없다
-겁재가 많으면-성품이 졸렬, 겉으론 부드러워도 속은 간사하고
사악하다.
-양인이 있으면-흉폭성이 더하고, 겁재와 양인이 2개이상이면
성질이 급하고 강하며, 겁재와 상관이 있으면 성질이 매우 흉악함
1>겁재의 통변
-좌하에 비견,겁재가 있으면 부부사별하거나 이별수
甲寅, 乙卯,丙午,丁巳,戊辰,己未,庚申,辛酉,壬子
-비.겁이 천간에서 간합되면-형제간에 불목하고 정이 없다.
-사주에 겁재가 많으면-부부이별하고 구설수가 많고
남자가 비겁이 3개이상이면-술집여자를 정처로 삼는 경우가 많다.
-사주에 겁재가 많으면-만혼하고 이복형제 있을 수 있다.
-사주에 겁재와 양인이 있으면빈천하고 이때 관성이 있으면 면한다.
-시주에 겁재, 좌하에 양인이면-처가 산액이 있거나 사별한다.
-상관 겁재 동주면 성질이 흉폭하고 시주에 있으면 자식이 해롭다.
-상관 겁재 양인 동주면-교도소에 가거나 불의의 객사, 단명,극빈하다.
-겁재가 많고 재성이 1개있으면-군비쟁재로 도둑질한다.
비겁이나 재성이 형,충되면 더하다.
2>대운, 세운에서의 겁재
1)겁재가 길신일 때
-주변으로부터 도움이 있다
-식신격이면 겁재운에 발복하고, 탐재파인된 인수격도 발복한다.
-재성격 + 신약--겁재운에 발복
2)겁재가 흉신일 때
-손재, 사기,도난,시비,관재구설 등의 흉폭성이 증가
-회사의 경영부진,자금악화로 부도,임금체불,노사갈등이 생긴다.
-형제,친구간에 투쟁,불화, 애인,부부간에도 이별수
교통사고 및 불의의 사고로 신체부상
-세운에서 비겁과 재성이 형,충이 되면-도둑질하고푼 충동
원국에서 비겁과 재성이 형,충되어 있으면 물건 훔치다가 실형산다
-재성이 약한 남자는 겁재운에 喪妻하나 원국에 정관이 있으면
재성을 보호하고 겁재운을 극하여 재화가 무사하다.
-신왕하면 겁재운에 형제간에 투쟁, 재물로 인한 손재
참고
.비겁이 왕 +정재가 약하면--겁재운에 조심
+편재가 약하면--비견운에 조심
그러나 원국에 정관이 투출하여 재성을 보호하면-면한다.
. 인성이 왕하면 편인운에 조심해야 하나
원국에 재성이 투출하면 그 재화를 막을 수 있다.
'명리학의기초.통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비겁론 1 - 오성명리 (0) | 2009.12.17 |
---|---|
[스크랩] 비견(比肩) (0) | 2009.12.17 |
[스크랩] .비겁 인성은 현자이며 달인이다. (0) | 2009.12.17 |
[스크랩] 비견(比肩) (0) | 2009.12.17 |
[스크랩] 겁재(劫災) (0) | 2009.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