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官
ㄱ. 정관
우주가 항구적으로 존속하기 위해서 법칙에 의해 운행하듯이 인간의
삶에도 질서와 규제가 필요한데 이것이 관官이다. 국가가 법으로 만민을
다스리고 가정은 가도家道로서 가정을 지키는 것이다.
모법생으로 효도하고 명예를 중시하고 준법정신이 강하다.
신용과 책임감이 강하다. 여성은 현모양처 감이다.
① 성질과 사물
정당한 규제로 직장 명예 정치 관청 윤리 권위 질서 책임 법율 질서 온후
세심 총명 질소 검약 인애仁愛정직 성실 인격 법도 품행단정 군자형 효도
수首 장長 제가齊家 치국治國 관공서 공문서 자격증
② 인사
자식(男) 남편(女)
ㄴ. 편관
①성질 및 사물
흉폭신 성급 교쟁交爭 타인경시 의협심 억강부약 권모술수 책략 영민 과단
호걸 규제 관제 통제 불복 독재 권력지향 귀신 영혼 질병 재난 형액 고통
파산 단명 투쟁 폭염 태풍 송수 무기 흉기 폭팔물 교도소 영장令狀 영웅
* 남을 꿰뚫어보는 날카로운 눈매와 결단력을 가진 의리형이나,
남이 자신을 이용하려하면 공격형으로 돌변한다.
머리가 좋고 부하를 부리는 수완이 있다. 좋고 싫은 것이 분명하다.
* 여성은 기가 강하고 여걸적인 기질이 있어 활동하지 않으면 부부 연이
바뀔 수 있다.
②인사
군인 경찰 검판사 감사관 세관원 깡패 흉폭자 협객 환자 시체 무기
* 정관은 수순영달격隨順榮達格으로 법대로 순응하므로 문관文官 행정관이요,
편관은 일발여뢰격一發如雷格으로 일방적이므로 무관武官 사법 수사관이다
ㄷ. 관의 작용
① 신왕해야하고, 관살은 형충과 혼잡을 매우 싫어한다. 관살이 유기有氣한가
손상은 없는가 재성과 인성이 통관되고 있는가를 살펴야한다.
관살은 형충되면 관직송쟁이요, 자녀신액 부군형액이다.
관살이 혼잡되면 -
a.허둥대며 쫒기는 생활이다.
b.비빈칙요非貧側夭다(가난하지 않으면 일찍 죽는다).
c.록록종생碌碌從生이다(수입은 없고 고생만 하는 생활이다).
d.관리에게 욕 잘하고 부정적이다.
e.남자는 직장 변화 많고 소실득자로 상속문제 야기한다.
f.여자는 남자로 고뇌하고 편부에 기생하거나 구도인생이다.
甲辛丙丁 + 전세에서 사글세도 내기 힘든 가난에 찌든 명이다.
午巳午丑 록록종생碌碌從生이다.
* 거관유살去官留殺, 거살유관去殺留官되면 혼잡으로 보지 않는다.
②재의 생을 좋아하고 식상의 극을 싫어한다.
인수와 통관하면 형통하고 살인상정되면 고귀하며 신왕관왕을 대희한다.
③유력하고 순청해야 하며, 신강을 원하고, 신약이면 관재 신액 사고다.
(여자는 강간당하고 진실이 왜곡되며 인정망신因情亡身한다)
④살은 양인이 있어 상정相停되면, 중화되어 길명으로 변한다.
⑤일지정관은 자수성가하고 처가 현숙하며, 여자는 속도위반 하거나
연애결혼이 많고 일지 정관이 길신이면 부덕이 있다.
일지칠살 여명은 정이나 강압에 못 이겨 결혼을 많이 한다
⑥월상정관 가문 좋고 부덕父德있고, 공직자면 대길이요,
시상정관 현명한 효자가 있고 만년晩年에 발달한다.
⑦여명에 관살이 왕하고 신약이면 만혼에 결혼기피증 있고,
시어머니 등살에 고통이요 시가를 부양하며 종내는 남자를 혐오한다.
* 戊寅, 壬午, 甲午일생은 유부남 애인이거나 남편 덕이 없다.
⑧여명에 편관과 상관이 합이면(음일생) 정부情夫와 자궁이 합하니
대낮에 정사하는 상으로 음탕하다. 관과 욕浴이 동주하면 남편이 풍류호색 한다.
암합관다暗合官多면 부정녀不貞女(비밀스런 연애)요, 좌우 관합官合이면
남자는 동서득자하고 여자는 양방괘상兩房掛裳이라.
재관합신이면 총각득자 연애결혼이다.
⑨관인이 동주하면 교육계나 직장의 중역重役이요, 관이 형충자 군경軍警의
하급직이다. 정관격이 사업하면 기복이 많다.
관이 역마와 합이 된 자는 외국과 연관된 직업에 종사한다.
편관편인 동주하면 외국 편력이나 행상인등 편업偏業에 종사한다.
⑩여명에 관이 천을귀인이면 堂上官(궁궐출입)이요 천관귀인天官貴人으로서
부덕이 있고, 남편을 출세시킨다. 또한 화개살(庫藏地官 동일) 위에 관이
있으면 성직자와 정을 통하거나 힘든 사랑을 하여 불미한 사랑을 하기 쉽다.
⑪관공망자官空亡者
남자는 명예탐욕 정치지향 직업방황하며, 후사가 없고 존경받기 좋아한다.
여자는 만혼팔자 이성흉연, 애인은 있어도 남편 덕은 없다.
⑫살중제경殺重制輕이면(살이 왕하고 제복이 없으면) 훙폭 대담하고,
관이 없으면 무질서 나태 산만 흥기가 많고 놀기 좋아한다.
⑬여명에 재관이 투출하지 않고 신태왕한 명은 성격이 과감하고 극단적이며
남편을 머슴처럼 동네 개보듯 무시한다.
⑭무관無官인 여성은 무재인 남성을 만나기 쉬운데 상대방의 일이 잘 풀리지
않는 경우가 많다. 무관인 여자는 남편이 무능하거나 병약하여 남편덕이
없는데 만약 잘해주거나 경제 능력이 있다면 사별하거나 헤어진다.
또한 상대가 내게 소홀히 대한다거나, 너 아니면 내가 사람 없을까 보냐는
식으로 무시하고 간섭한다.
⑮무관無官인 남성은 허관虛官을 얻기 위해서 재물을 지출하고서라도
명예나 감투를 좋아한다.
* 관이란 남편이 아내를 정당하게 규제하고 아내는 정당한 규제에
순응하고 협조해야 존중되고 대접받는 가정의 화평을 이룰 것이다.
또한 관은 직업이므로 그 동향을 살펴 귀천 선악 능력의 대가를 본다.
ㄹ. 官殺 多逢
初年困窮 勞多功小 學業中斷 孤獨頑强 四顧無親 頑强之性 到處敵軍
노다공소 학업중단 고독완강 사고무친 구설시비 직장방황 무자팔자
母妻不和 平生殘疾 貪財得病 官災訟事 小心之命 獨立心弱 事業不可
모처불화 평생잔질 탐재득병 관재송사 소심지명 독립심약 사업불가
中途下車 因子敗家 因妻敗家 東西得子 口舌是非 職場彷徨 無子八字
중도하차 인자패가 인처패가 동서득자 구설시비 직장방황 무자팔자
人間對立 眞實歪曲 여) 異性亡身 人情悲哀 愛情背反 夫君無德
인간대립 진실왜곡 이성망신 인정비애 애정배반 부군무덕
①남자; 한 직장에 못 있고 자식무덕하며 졸부심성으로 고집에 망하므로
한 가지 기술 습득만이 살길이다.
②여자; 강제결혼 본부이별 가장역할 일가부양 팔자한탄 가련지명
이성많고 치장 잘하나 내것 주고 뺨맞으니 한숨세월 끝이 없다.
0 달린 놈 상대마라. 그러나 그리워지는 것을. . . .
ㅁ. 왕살제복 삼법 旺殺制服 三法
칠살이 흉폭하지만 제살이나 통관되거나 합살되면 좋은 작용을 한다.
시결詩訣에 “편관유제偏官有制 화위권化爲權하니 타수등운唾手登雲
소년발發少年이라”했고, “편관불가 예언흉偏官不可例言凶하소
유제환화有制還化 의록풍依祿豊이라”고 했다.
①식신제살법 食神制殺法(격퇴법) - 용장勇將
칠살이 태왕할 때 식신을 격퇴시켜 구명하는 법으로, 성격이 용감하며
직선적이고 사나이답다. 직업은 권력이나 무관직이 좋다.
庚 丙 戊 壬 + 재관 왕하니 戊용신(寅은 충으로 불용). 평생 金水 기신
寅 寅 申 子 운으로 고생이다. 일락서산落西山 상종반귀相從反貴
癸운도 용신을 합거하니 곤고困苦하다.
* 盡法無民(진법무민)
관이 약하고 식상이 왕하여 제살태과하면 법이 없는 무정부 사회가 되어
삭탈관직削奪官職, 자손의 해, 비명횡사, 부부무덕하다.
己 丙 戊 戊 - 甲申생 부와 일찍 연애 결혼하여 辛亥생 자식 얻고 남편과
丑 戌 午 子 이별하고 진법무민으로 부모형제의 유산 탕진하였다.
사업마다 실패하여 고생하는 命이다.
② 살인상정법 殺刃相停法(미인계법美人界法. 매씨합살妹氏合殺)
살을 권으로 변화시키는 법으로, 누이(양인)를 두목(칠살)에게 시집보내어
정전停戰하고 화해하는 미인계전법으로 흉화위길이다.
다만 왕살이 합세군 하거나 충을 받으면 흉하게 된다.
* 명중에 有殺無刃하면 殺必傷身하고 無殺有刃면 刃必劫財하게 되는데
殺刃來合하면 必爲貴命이라.
丁 甲 己 庚 + 신왕 살왕. 甲이 乙여동생을 칠살인 庚에게 시집 보
卯 寅 卯 申 내니 흉위길조凶爲吉兆라. 金운에 귀하게 되다.
③ 살인상생법 殺印相生法(협상법. 탐생망극貪生忘剋)
살이 인수를 만나면 생이 탐나 극을 잊으니 탐생망극이요 살성구인
殺星拘印이다. 이때 살과 인수가 인접하여야 상생을 잘 이룬다.
丙 癸 戊 己 + 살중신경殺重身輕. 酉운에 일발여뢰一發如雷로 대부
辰 酉 辰 酉 하고 戊戌운에 사망하다. 순리로 처리하며, 강공强攻
에서 물러나 일단 후퇴한 후에 재 모색하는 형이다.
'명리학의기초.통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여자에게 정관, 편관 (0) | 2009.12.17 |
---|---|
[스크랩] 남자에게 정관, 편관 (0) | 2009.12.17 |
[스크랩] 正財의 작용 (0) | 2009.12.17 |
[스크랩] 偏財의 작용 (0) | 2009.12.17 |
[스크랩] 재성(財星)이 희신(喜神)이면 (0) | 2009.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