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주별 심리분석 ㅡㅡ | |
甲木(갑목)의 표면심리는 비견이고 내면심리는 편재에 해당한다. | |
1. 甲子(갑자) | |
비견성과 정인성 = 수동성과 직관력 | |
직관력에 대하여 강하게 밀고 나가는 성분 | |
2. 甲寅(갑인) | |
주체성이 탁월하다. (비견+비견) | |
연구분야에서 독보적인 능력을 발휘한다. (식신+편재) | |
3. 甲辰(갑진) | |
풍류기질이 있다(한 바람한다) ---> 지장간의 戊土(무토) (비견+편재) | |
사업이나 유통업(독립적 형태) | |
편재적 독재가 강한 성격이다. | |
자신의 주장을 강력히 밀고 나가는 성분 ---> 지장간의 乙木(을목)(비견+겁재) | |
4. 甲午(갑오) | |
자기의 재능을 과시하는 성분 (비견+상관) | |
육십갑자중 상관 성이 가장 두드러 진다. | |
보통은 사람을 무시하나 자신보다 월등한 사람에겐 완전 복종한다. | |
가장 오버해서 떠들어 댄다. | |
물질에 집착 (비견+정재) | |
5. 甲申(갑신) | |
바위위의 소나무로 몸과 마음이 어색해 보인다. | |
살인상생의 구조로 봉사하면서도 자제를 한다. | |
6. 甲戌(갑술) | |
적당히 현실적이다 (비견+편재+상관) | |
상관이 정재를 보았기(지장간)때문에 물욕이 강하면서도 자신의 재능을 과시한다. | |
乙木(을목) 의 표면심리는 겁재이며 내면심리는 정재성이다 | |
7. 乙丑(을축) | |
사업을 할 가능성이 많다 (정재+편재) | |
8. 乙卯(을묘) | |
고집이 단연 독보적이다. | |
비견이 재물이 대한 호기심을 무효화 시켜 재물에 대해 담담한 생각 | |
9. 乙巳(을사) | |
소유욕이 과다 (정재+상관) | |
동업으로 능력 발휘 (정재+정재) | |
자신의 표현능력을 사회봉사라고 생각 | |
10. 乙未(을미) | |
감각적인 것을 적극적으로 표현한다. (정재+편재) | |
연구하는 상업이나 설계에 연관된일에 흥미를 느낀다. | |
뿌리가 약한 관계로 변동이 있다. | |
11. 乙酉(을유) | |
바위위에 올라앉은 화초 | |
정서불안 언행불일치(정재와 편관의 성분이 서로 상반 되기때문) | |
12. 乙亥(을해) | |
뛰어난 직관력을 활용한 판단력. | |
통찰력을 잘 살리면 큰 성취를 이룬다. | |
생활력이 강하다 (뿌리가 단단) | |
움켜쥐려고만 하는 마음이 삶의 장애요소가 된다. | |
丙火(병화)의 표면심리는 식신성분이고 내면심리는 편관성이다 | |
13. 丙子(병자) | |
합리적인 생각 (활발하면서도 이성적인 사람) (식신+정관) | |
불만이 많다 (활발하면서도 스스로 피곤하게 산다) | |
주변관살이 강하면 편관적인 잠재성분의 발동으로 약한 병화는 | |
스스로 억압하는 형태가 되고 추진력이 떨어진다. | |
14. 丙寅(병인) | |
직감에 대한 성분이 매우 활발하게 작용한다.(식신+편인) | |
자신의 생각대로 일을 처리한다.(식신=식신) | |
(탁월한 직관력을 발휘하고 자신의 재능을 연구하여 강력히 추진) (식신+비견) | |
15. 丙辰(병진) | |
자신의 재능을 발휘하여 깊이 있는 궁리로 이름이 높아지는 학자의 구조 (식신+식신) | |
절제가 있는 형태(우쭐거리는 것을 싫어한다) (식신+정인) | |
많은 사람이 이익을 누릴 수 있는 일에 보람을 느낀다 (식신+정관) | |
16. 丙午(병오) | |
독불장군(천하의 병오일주 라고함,맹렬 그 자체) (식신+겁재) | |
흘러주는 역할로 극한상황에서의 타협을 취하는 능력 (己土(기토)의 역할) | |
17. 丙申(병신) | |
성취욕이 강한 반면 추진력이 떨어진다. | |
내면적인 두려움을 갖고 있다 (식신, 상관의 작용으로 허약증에 걸려) | |
18. 丙戌(병술) | |
고집스럽게 자신의 생각을 밀고 나가는 작용이 강하다. | |
현실적인 이익에 치중한다. | |
생각보다 말이 앞서는 경향이 있다. | |
丙辰(병진)에 비해 설기가 안된다. | |
丁火(정화)의 표면심리는 상관성이며 내면심리는 정관성이다 | |
19. 丁丑(정축) | |
예술적 감각이 있다 | |
분주한 느낌이 든다 | |
주변의 상황을 자기에게 이롭도록 유도하는 특성이 타의 추종을 불허 | |
신약한 형태면 억압의 부작용으로 세상을 회피할 수도 있다. | |
20. 丁卯(정묘) | |
자신의 의사를 잘 표현하면서도 더듬거릴 가능성이 있다 (편인의 부정 수용) | |
신약하면 직관력과 표현능력을 발휘하여 예언계통에 성공할 가능성이 있다. | |
21. 丁巳(정사) | |
이지적이고 냉정한 표현을 우회적으로 나타낸다 (지적욕구) | |
자신의 욕구를 성취하는 방향으로 의식이 흐름 (상관 정재가 있고 관살과 인성이 없으니) | |
22. 丁未(정미) | |
차분한 느낌이다 (건방진 면이 없어 윗사람에게 인정 받는다) | |
자신의 삶에 최선을 다해서 궁리한다. | |
자신의 생각이 옳다고 생각하는 면이 강하다. | |
23. 丁酉(정유) | |
유능한 기술자 (뭐든지 보는대로 흉내내는 기술자) | |
사업을 합리적으로 크게 하겠다. | |
브리핑, 사업구상에 탁월한 식견. | |
24. 丁亥(정해) | |
신약하면 자신의 일에 충실하면서도 내면적으로는 거부감을 가진다. | |
인정받으면 좋아하지만 배신이나 따돌림을 받으면 복수심을 자진다 | |
잠재적인 직감력 초능력성분이 있다. | |
신약한 乙(을), 丁(정)이 인성이 용신이면 靈的(영적)직업을 가질 가능성이 있다 | |
정관합으로 책임감이 강하다 | |
戊土(무토)의 표면심리는 편재성이며 내면심리는 편인이다 | |
25. 戊子(무자) | |
의지력이 물질 한 방향으로 집중(정재합으로 인해) | |
돈에 집착 | |
26. 戊寅(무인) | |
공익사업을 할 가능성이 많다. --->고아원 양로원(편재+편관) | |
자신의 이득을 취하면서도 남을 위해야 하니 부자연 스럽다. | |
27. 戊辰(무진) | |
주관이 강하다 | |
투기적인 사업, 남성적이다(보스기질) | |
은밀한 분위기의 육체적 감각, 몸을 중시하는 경향이 있다. | |
28. 戊午(무오) | |
직관적인 사업을 할 가능성이 잇다. | |
자신의 고집대로 사업을 할 가능성(편재+겁재) | |
29. 戊申(무신) | |
사업쪽으로 궁리가 잘 됨(기발하고 톡특한 상품을 사업적으로 생산한다) (편재+식신) | |
투기적인 성분이 강함, 운이 좋으면 크게 성공 (편재+편재) | |
운이 안 좋으면 연구비 충당에 항상 가난하다. | |
30. 戊戌(무술) | |
강력한 주체성을 발휘하는 일에 적성-軍(군) 체질(지휘관) | |
辛金(신금)은 토에 묻혀서 제 성능을 발휘하기 어렵다. | |
정화도 토의 성분을 강화. | |
己土(기토)의 표면심리는 정재성이며 내면심리는 정인이다 | |
31. 己丑(기축) | |
선천적인 교사체질 (정인 +비견) | |
丑(축)중 己土(기토)는 극을 받아서 偏財(편재) 의 감각적 성분은 잘 나타나지 않으나 | |
격국의 구조에 따라 수의 성분이 강화되면 분류를 잘하는 능력을 발휘 | |
32. 己卯(기묘) | |
신약일때: 자신을 억압하는 형태,스트레스, 정서불안 | |
신강일때: 일관성 있게 자신의 맡은바 일을 충실하게 수행 | |
33. 己巳(기사) | |
정인의 강화로 자신의 연구를 베풀어 주려고 노력한다.(정인+정인) | |
자신의 주장을 꺽지 않으려고 한다. | |
베풀어 주면서 스스로 만족 | |
34. 己未(기미) | |
베푸는 인성이 강하다 (己土(기토)의 내면심리 인성에 비견이 겹치니) | |
강제적으로 공익을 위해 베풀어야 한다는 억압감 (지장간의 乙(을) 목의 영향) | |
신비한 세계에 대해서 확신을 갖는 구조이나 강력한 비견의 영향으로 믿기는 하면서도 | |
공감은 하지 않는다 | |
35. 己酉(기유) | |
자신의 연구를 활발하게 공개하는 구조 (정인+식신) | |
단순하게 계획대로 일을 추진하기 때문에 쉽게 성공할 수도 있다. | |
일지에 子午卯酉(자오묘유)가 있는 사람은 목적이 뚜렷하고 단순한 경향이 있고 | |
일지에 辰戌丑未(진술축미)가 있는 사람은 심리구조도 복잡하다 | |
36. 己亥(기해) | |
재물에 승부를 걸어보아야 할텐데 정인의 성분이 사업에는 부적합하다. | |
해중갑목과 甲己(갑기)합으로 정인의 신비성과 정재의 구체적 사물인식이 합해져 | |
추상적인 것을 사실적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 |
庚金(경금)의 내면심리는 편관성이며 내면심리는 비견이다 | |
37. 庚子(경자) | |
편관+상관 성분으로 점잖해보이지만 내면으로는 그렇지 않다 | |
냉정하게 이지적으로 판단하는 성분과 합리적으로 자기의 의견을 표현하는 구조 | |
형이상학적인 면에 호기심이 없다. | |
38. 庚寅(경인) | |
위험한 일에 관심을 갖는다 (편관+편재) | |
민감하고 예리한 감각을 살려서 긴장감 도는 무기판매상 등 투기성 높은 사업에 흥미 | |
신비성에 의지하는 마음도 있지만 편재에 눌려 두드러지지 않는다. | |
공익을 앞세우고 평범한 일을 싫어한다. | |
39. 庚辰(경진) | |
다수를 위해 자신의 감정을 극도로 절제하면서 신비성에 의지해서 판단하고 처리하는 구조이다. | |
능력을 직관력에 편승해서 신속하게 가공처리하여 상품화하는 능력이 있다 (편관+상관) | |
자신에게 돌아올 이득에 대해 아주 짧은 순간에 판단한다 (정재성) | |
40. 庚午(경오) | |
봉사와 희생정신이 초인적이다(편관+정관) | |
순수하게 남의의견을 받아들이고 치우침을 방지해 주는 역할을 한다.(편관+정인) | |
41. 庚申(경신) | |
이지적이로 봉사하면서도 그 일에 대해서 고집을 부리는 성분(편관+비견) | |
7대고집으로 주관적인 성분이 매우강하다 | |
한 방면으로 몰두해서 파고드는 성분이 있다(식신) | |
온기가 부족하고 냉 기운으로만 형성되어 약간 아쉬움이 있다. | |
42. 庚戌(경술) | |
기본적인 것은 경진 일주와 비슷하다 | |
겁재의 영향이 강화되어 경신일주와 비슷한 구조 | |
辛金(신금)은 가장 단단한 성분이다. 표면심리는 정관성이고 내면심리는 겁재의 성분이다. | |
43. 辛丑(신축) | |
뿌리가 깊다. | |
독한 면을 볼 수있다. | |
겁재+편인의 성분으로 자신을 방어하는 구조이다 | |
냉정한 현상 (건드리지 않으면 양반) | |
癸水(계수)(식신)의 성분으로 자존심으 건드리면 복수할 궁리를 한다 | |
44. 辛卯(신묘) | |
겁재+편재의 성분 = 스스로 재성의 힘을 감당하기 어렵다. | |
사업보다 신체단련 전문가로 재능을 발휘 할 구조 | |
45. 辛巳(신사) | |
겁재+정관; 공익을 생각 인내심 발휘. 공무원으로 적격이다. | |
庚金(경금)(겁재) 가있어 강인한 느낌이지만 워낙 巳火(사화)가 강해 속으로만 그럴 뿐 겉으로는 공손하다 | |
46. 辛未(신미) | |
신축일주와 비슷한 구조이나 | |
편재 乙木(을목)과 편관 丁火(정화)가 겁재의 성분을 약화 시킬 가능성이 있다. | |
(편관+편재 = 위험하고 극기심을 요구하는 운동에 관심) | |
47. 辛酉(신유) | |
겁재+비견 일등고집-100%: 자신의 주관대로 일 처리를 한다. | |
남의 조언을 무시하고 대책없는 고집으로 인식 될 수도 있다. | |
48. 辛亥(신해) | |
겁재가 상관을 봤으니 폼생폼사이다. | |
자신에 대해서 남들이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대해서 관심이 많다. | |
남들에게 돋보이기 위해서 외모에 신경을 많이 쓴다. | |
신약하면 자신의 능력을 과대평과하기도 한다. | |
壬水(임수)는 표면적으로 편인의 성분을 갖고 있지만 내면심리인 식신의 성분이 강하다. | |
49. 壬子(임자) | |
직관력을 믿고 전진하는 형태: 예술계통에 적격 (식신이 있으면 금상첨화) | |
삼대고집이지만 임자일주는 웬만하면 식상으로 흘러서 인정도 많고 | |
재능도 활발해서 여러방면에서 성취할 가능성이 많다. | |
50. 壬寅(임인) | |
식신의 성분으로 학자의 분위기 이다(편인의 직관력과 식신의 연구력) | |
직감을 받아서 가공하여 새롭게 정리해서 전달한다:학자 | |
편재(丙火(병화))의 성분으로 결말을 짓는다(수생목 목생화 화생토로 가장 순수하게 흐른다) | |
51. 壬辰(임진) | |
편인과 편관의 성분으로 냉정하게 객관적인 판단을 한다. | |
동정심이 많다. | |
상관(乙木(을목))의 성분으로 일관성이 없는 편이다(상관으로 흐르는 기운과 편관의 역류하는 극제성분) | |
겁재(癸水(계수))의 성분으로 다양한 일을 할 가능성이 있다(심리구조도 상당히 복잡 다양) | |
52. 壬午(임오) | |
水火旣濟(수화기제) 로 균형을 이루면서 부지런히 움직이는 형상 | |
丁壬合(정임합) 으로 좋은 암시이다 (무슨 일을 하면 끝장을 보는 암시) | |
재물의 속성을 알기 때문에 관리면에서 탁월 | |
조화된 마음가짐으로 주위사람들과 화목하다(정관) | |
53. 壬申(임신) | |
편인+편인의 성분으로 부정적인 사고방식(너무 한 방향으로치우친 구조) | |
불평불만이 많은 편이다 | |
54. 壬戌(임술) | |
편인+편관의 성분으로 현실성이 없다. | |
미래지향적이지 못하고 불평불만이 많다. | |
정재+정인 = 강력한 무토의 작용과 정화의 극을 받은 인성의 무력함으로 인해서 세상살이가 만만치 않다. | |
자신의이익을 추구하는 성분의 부족으로 심성은 선량하다. | |
癸水(계수)의 표면심리는 정인이고 내면심리는 상관의 성분이다. | |
55. 癸丑(계축) | |
상관+편관의 구조로 마음의 갈등이 발생한다(남의 견재를 받지 않으려는 마음) | |
주변 여건이 좋으면 편관을 살려 군인으로 출세할 수도 있다. | |
편인의 비견이 있어 내부적으로는 편안한 형상 | |
56. 癸卯(계묘) | |
상관+식신(비상) 손오공(묘기백출):자신의 능력을 제대로 발휘하는 구조 | |
지장간에 다른 성분이 없으니 오롯이 외길을 가는 구조이다. | |
57. 癸巳(계사) | |
상관이 정재를 봐서 사업을 할 구조이다 (세련된 감각과 깔끔한 매너) | |
신약한 형상으로 짜여지면 고난이 예상. | |
정인 성분이 있으나 丙火(병화) 가 워낙 강해서 직관력을 발휘하기가 힘들다. | |
58. 癸未(계미) | |
상관+편관의구조로 표면적으로는 계축일주와 비슷하나 내부는 계축보다 불량하다. | |
재주는 많으나 편관의 브레이크 작용이 강해 결실이 약하다. | |
59. 癸酉(계유) | |
상관+편인의 구조로 자신의 능력을 백분 발휘하는 재능있는 사람이다. | |
상관의 기운이 너무 강해서 억제 못하면 일관성 없는 형태도 될 수있다. | |
집중력 직관력도 좋아 찬스에 강하다. | |
60. 癸亥(계해) | |
상관+겁재의 성분으로 주체성이 있으면서도 총명하다. | |
멋대로 사는 구조도 될 수 있다. | |
원만한 성격이 많다 |
출처 : 구암등산카페
글쓴이 : 구암(具東寅) 원글보기
메모 :
'명리학의기초.통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일주별 심리분석 ㅡㅡ (0) | 2012.05.29 |
---|---|
[스크랩] 통변(通變)의 기준 (0) | 2012.05.25 |
[스크랩] 숫자로 보는 신비한 오성궁합법 (0) | 2012.05.25 |
[스크랩] 서로의 이름으로 궁합보기 (0) | 2012.05.25 |
[스크랩] 월령으로 점 보기 (0) | 2012.0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