同柱干支의 生剋合化
1. 간지 배합의 유형 - 십간과 십이지를 순서대로 짜 맞추어 60개의 간지를 만들었는데 이를 통칭 60갑자라고 부른다. 한 개의 柱에서 천간과 지지가 어떤 관계를 지니고 있는가를 파단하면 사주를 볼 때 많은 도움이 된다. 이제 항목별로 나누어 살펴본다.
① 천간 生 지지 - 甲午, 乙巳, 丙辰, 丙戌, 丁丑, 丁未, 戊申, 己酉, 庚子, 辛亥, 壬寅, 癸卯의 12개.
② 지지 生 천간 - 甲子, 乙亥, 丙寅, 丁卯, 戊午, 己巳, 庚辰, 庚戌, 辛丑, 辛未, 壬申, 癸酉의 12개.
③ 천간 剋 지지 - 甲戌, 甲辰, 乙丑, 乙未, 丙申, 丁酉, 戊子, 己亥, 庚寅, 辛卯, 壬午, 癸巳의 12개.
④ 지지 剋 천간 - 甲申, 乙酉, 丙子, 丁亥, 戊寅, 己卯, 庚午, 辛巳, 壬辰, 壬戌, 癸丑, 癸未의 12개.
⑤ 천간 同 지지 - 甲寅, 乙卯, 丙午, 丁巳, 戊辰, 戊戌, 己丑, 己未, 庚申, 辛酉, 壬子, 癸亥의 12개.
이상의 60조의 甲子는 지지의 본기를 천간과 대조하여 生과 剋과 同一의 관계를 살펴본 것이다. 여기서는 갑자 각각의 上下關係만을 본 것이고 계절을 보지 않았다. 즉 출생월이 무엇인가에 의해 동일한 갑자라도 천간과 지지의 관계가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 출생월과의 관계에서 旺․相․死․休․囚을 측정하고 또 지장간 중에서 본기 이외의 여기와 중기를 천간과 대조해야 한다. 지지가 천간을 생하거나 같은 오행이면 生扶를 얻은 것이므로 천간의 역량이 반드시 크게 된다. 예컨대 甲子, 乙亥, 庚申, 辛酉가 그 경우이다. 또 천간이 지지를 생하는 것도 있고 지지를 극하는 것도 있다. 이것은 지지를 극해도 힘이 빠지고 지지를 생하느라고 洩해도 힘이 빠지므로 천간의 역량이 감소한다. 예컨대 甲午, 乙巳, 庚寅, 辛卯가 그런 경우다. 또 지지가 천간을 극하면 천간은 극을 받아서 역량이 최소가 된다. 그 예로 甲申, 乙酉 등을 들 수가 있다. 총괄적으로 말해서 지지가 천간을 생하는 것과 지지와 천간이 같은 오행인 것은 천간 역량이 최대가 되고 천간이 지지를 극하거나 생하면 천간의 역량이 약하게 되고, 천간이 지지의 극을 받으면 천간의 역량이 최소가 된다. 그러면 지지를 위주로 살펴보자. 천간이 지지와 동일한 오행이거나 천간이 지지를 생하면 지지의 역량은 최대가 되고(甲午, 乙巳, 壬子, 癸亥등), 지지가 천간을 극하거나 생하면 지지의 역량은 약하게 되며(丙寅, 丁卯, 甲申, 乙酉), 천간이 지지를 극하면 지지의 역량은 최소가 된다.(丁酉, 壬午)
2. 간지의 배합과 지장간의 관계 - 간지 상하의 조합 관계는 지지의 본기 뿐만 아니라 지장간 각각을 천간과 대조해서 역량을 측정해야 하는 것이다. 이것은 지장간이 하나 밖에 없는 지지인 子酉卯의 세 가지를 제외하고 모든 간지에 적용된다. 육십 갑자에서 子, 酉, 卯가 구성하는 것은 甲子, 丙子, 戊子, 庚子, 壬子, 乙卯, 丁卯, 己卯, 辛卯, 癸卯, 乙酉, 丁酉, 己酉, 辛酉, 癸酉의 15조 뿐이다. 이것은 전술한 원칙에 의해 상하 간지의 역량을 간단히 측정할 수 있다. 그 밖의 지지는 午와 亥가 각각 두가지의 지장간을 지니고 있고, 다른 지지는 세 개의 지장간을 지니고 있다. 이미 앞에서 甲寅, 丙寅, 戊寅, 庚寅, 壬寅을 예로 들어 천간과 지장간, 각각의 역량의 차이를 분석한 바 있다. 간지의 조합에서는 지장간 중에 천간에 투출한 지장간의 역량이 가장 크고 기타의 경우에는 각각의 지장간을 천간과의 관계에서 생극의 관점에서 그 역량의 크기를 비교해야 한다. 甲申이라는 갑자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면 申 중의 지장간 庚, 壬, 戊는 모두 천간에 투출하지 않았다. 지장간 壬水는 천간 甲木을 생하고, 천간 甲木은 申의 지장간 戊土를 극하며, 申의 지장간 戊土는 지장간 庚金을 생하는 동시에 壬水를 극하고, 지장간 庚金은 천간의 甲木을 극함과 동시에 지장간 壬水를 생한다. 이처럼 서로 생극하는데 그 중에서 戊土는 그 자신을 생조하는 火를 얻지 못하고 천간 甲木의 극을 받는 동시에 庚金을 생해야 하고 壬水를 극하는 등 세가지 면에서 힘을 빼므로 가장 역량이 약하게 된다. 壬水는 비록 庚金의 생조를 받는다고 하나 戊土의 극을 받으면서 또 천간 甲木을 생하느라고 운이 빠지므로 두 번째로 역량이 약하다. 지장간 庚金은 戊土의 생조를 받고 극을 받지 않는데다가 비록 천간 甲木을 극하느라고 힘이 빠지기는 하지만 지지 申의 본기이니 그 역량은 약하지 않다. 천간 甲木은 비록 申 위에 앉아서 申의 본기 庚金의 극을 받고 있지만 申의 지장간 壬水의 생조를 받기 때문에 殺印相生이 되어 아주 약하지는 않다. 그러나 戊土를 극하느라고 힘이 빠지는 것은 사실이다. 종합적으로 甲申이라는 한 개의 갑자를 놓고 볼 때, 천간 甲과 지장간 庚, 壬, 戊의 네 개 중에서 甲의 역량이 비교적 크고, 그 다음에 庚의 역량이 크고, 壬의 역량은 경보다 적고, 戊의 역량이 가장 약하다.
위에서 분석한 원리를 응용하여 사주의 간지 전체를 놓고 각각의 천간과 지장간의 역량을 측정해야 한다. 그런 다음에 비로소 월지와의 관계에서 각각의 천간과 지장간이 旺相死囚休하는 관계를 고찰하고, 그 다음에 천간과 지장간 상호간의 合과 剋을 분석하고, 그 다음에 지지의 회합형충해를 응용하여 종합적으로 천간과 지장간 각각의 역량을 세밀히 측정해야 한다.
3. 간지의 배합과 月令의 관계
① 春令 木旺時(입춘 후 72일 하고 9시진 이내)
㉠ 甲寅, 乙卯, 甲辰 - 木의 역량이 매우 크다.
㉡ 丙寅, 丁卯, 丙辰 - 木生火하니 火의 역량도 크다.
㉢ 戊寅, 己卯, 戊辰 - 木의 극을 받으니 土의 역량이 적다.
㉣ 庚寅, 辛卯, 庚辰 - 강한 木을 극하느라고 金은 힘이 없다.
㉤ 壬寅, 癸卯, 壬辰 - 木을 생하느라고 水의 힘이 적다.
② 夏令 火旺時(입하 후 76일 하고 6시진 이내)
㉠ 丁巳, 丙午, 丁未 - 火의 역량이 매우 크다.
㉡ 己巳, 戊午, 己未 - 火의 생조를 받으니 천간 土의 역량도 크다.
㉢ 辛巳, 庚午, 辛未 - 火의 극을 받아 金의 역량은 적다.
㉣ 癸巳, 壬午, 癸未 - 강한 火를 극하느라고 水는 무력하다.
㉤ 乙巳, 甲午, 乙未 - 火를 생하느라고 木의 힘이 적다.
③ 秋令 金旺時(입추 후 73일 하고 10시진 이내)
㉠ 庚申, 辛酉, 庚戌 - 金의 역량이 매우 크다.
㉡ 壬申, 癸酉, 壬戌 - 金의 생조를 받으니 水의 역량도 크다.
㉢ 甲申, 乙酉, 甲戌 - 金의 극을 받으니 甲의 역량이 적다.
㉣ 丙申, 丁酉, 丙戌 - 강한 金을 극하느라고 火는 힘이 없다.
㉤ 戊申, 己酉, 戊戌 - 金을 생하느라고 설기하니 土는 역량이 약하다.
④ 冬令 木旺時(입추 후 70일 하고 8시진 이내)
㉠ 癸亥, 壬子, 癸丑 - 水의 역량이 매우 크다.
㉡ 乙亥, 甲子, 乙丑 - 水의 생조를 받아 木의 역량도 크다.
㉢ 丁亥, 丙子, 丁丑 - 水의 극을 받으니 火의 역량이 없다.
㉣ 己亥, 戊子, 己丑 - 水를 극하느라고 土의 역량은 적다.
㉤ 辛亥, 庚子, 辛丑 - 水를 생하느라 설기 심해 金 역량도 적다.
⑤ 四季 土旺時(四立 이전 18일 이내)
㉠ 戊辰, 己未, 戊戌, 己丑 - 土의 역량이 매우 크다.
㉡ 庚辰, 辛未, 庚戌, 辛丑 - 土가 생하니 金도 강하다.
㉢ 壬辰, 癸未, 壬戌, 癸丑 - 土가 극하니 水는 약하다.
㉣ 甲辰, 乙未, 甲戌, 乙丑 - 土를 극하니 木은 무력하다.
㉤ 丙辰, 丁未, 丙戊, 丁丑 - 土를 생하니 火도 약하다.
이상의 분석은 지지에서 임관 또는 제왕 또는 여기를 지닌 것을 분석한 것이다. 예컨대 甲寅, 乙卯, 甲辰이 여름의 火旺할 때 또는 四季의 土가 왕성할 때 월주 혹은 다른 곳에 있다면 木은 火를 생하거나 土를 극하느라고 역량이 감소한다. 위의 甲寅, 乙卯, 甲辰의 갑자가 가을 金旺이 계절에 있다면 金의 극을 받아 木의 역량은 더욱 감소된다. 만약 겨울 水旺의 계절에 있다면 水의 생조를 받아 木의 힘은 증가한다. 여타의 갑자도 이런 원리로 측정한다.
육십갑자의 간지는 春木, 夏木, 秋金, 冬金, 四季土의 當旺의 때에 있을 때 비단 천간의 역량이 변화할 뿐만 아니라 지지 속의 지장간 각각도 변화하게 된다. 지장간 중에서 천간에 투출한 것이 천간이 변화하는 원리에 따라 변화하는 것은 물론이고 여타의 지장간도 각각의 오행의 생극제화하는 이치에 따라 변화하는 것이다. 예컨대 甲寅이라는 갑자가 사주에 있다고 하자. 甲木이 천간에 투출하고 지지에도 숨어 있으니 天透之藏했다고 부르는데 만약 봄철의 木氣가 왕할 때 혹은 겨울의 水氣가 왕할 때 甲寅이라는 것이 사주에 있으면 자연히 역량이 커지고, 여름이나 四季에 태어나면 剋洩이 심한 그러므로 역량이 감소된다. 가을 金旺한 계절에 甲寅이 있으면 金의 극을 받으니 역량이 더욱 감소된다. 이것은 천투지장한 甲木의 경우이고 寅의 지장간인 丙火와 戊土는 어떻게 계절의 영향을 받는가? 지장간 丙火는 천투지장한 甲木의 생조를 받아 역량이 매우 큰 편이다. 그러나 母(甲)가 왕성하면 子(丙)는 쇠퇴하는 오행의 법칙에 의해 春月 木旺절의 甲寅이라면 가뜩이나 甲의 생조가 많은 丙火는 木多하면 火가 질식하듯 제능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된다. 반면에 甲寅이 여름 火旺절에 있다면 이는 木火通明이니 丙火이 역량이 더욱 커지게 된다. 甲寅이 가을 金旺절에 또는 四季 土旺절에 있으면 丙火는 金을 극하거나 土를 생하느라고 힘이 빠지게 되고, 겨울 水旺절에 甲寅이 있으면 丙火는 水의 극을 받아 힘이 더욱 약화되는 것이다. 다음에는 甲寅의 지장간 戊土에 대해 살펴보자. 원래 천투지장한 甲木의 극을 받아 戊土의 역량은 매우 약한 상태다. 그런데 다시 木이 왕한 봄철에 甲寅이 있다면 지장간 戊土는 그 역량이 더욱 약화된다. 그러나 火가 왕한 여름이나 土가 왕한 四季에는 지장간 戊土는 火의 생조를 얻거나 土의 동료를 만나므로 왕하게 변한다. 또 金이 왕한 가을에는 金을 생하느라고 戊土의 힘이 빠지고 水가 득령한 겨울에는 水를 극하느라고 戊土의 힘이 빠지는 것이니 더욱 약해진다. 이밖의 모든 갑자도 이처럼 추론하다.
육십 갑자의 간지 배합과 月令의 관계는 사주학에서 매우 중요한 이론이다. 그러므로 그 관계는 생동감 있게 변화하니 세심히 살펴야 한다. 사주에서 계절을 보고 어떤 오행이 득시했는가를 살펴서, 그 득시한 오행과 사주 속의 천간과 지장간의 관계에서 각각의 역량을 측정해야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고, 生時는 오행의 균형을 맞추는 보조역할로 볼 것이며, 대운과 유년의 향배를 살펴서 필요한 오행이 찾아오면 길하고 나쁜 오행이 운에서 찾아오면 흉하다고 판단하게 된다.
4. 간지 相合의 형태 - 육십 갑자의 천간과 지지의 관계는 ① 천간 生 지지 ② 지지 生 천간 ③ 천간 剋 지지 ④ 지지 剋 천간 ⑤ 천간 同 지지의 다섯 가지 경우 외에도, 천간과 지지의 합이라는 유형이 있다. 육십갑자에서 천간과 지지가 합하는 것은 모두 12개이다. 즉, 甲午, 乙巳, 丙戌, 丁亥, 戊子, 戊辰, 己亥, 庚辰, 辛巳, 壬午, 壬戌, 癸巳가 그것이다. 이것은 천간이 지장간의 어떤 한 개와 합하는 것이다. 甲午의 경우에는 천간 甲이 지지 午의 지장간 己와 甲己合하는 것이다. 乙巳는 乙과 지장간 庚이 합하는 현상이고, 丙戌은 丙辛이 합하는 현상이며, 丁亥는 丁壬合이며, 戊子는 戊癸合이고 戊辰은 역시 戊癸合이며, 己亥는 甲己合이며 庚辰은 乙庚合이며, 辛巳는 丙辛合이며, 壬午는 丁壬合이며, 壬戌은 丁壬合이며, 癸巳는 戊癸合이다. 이것은 모두 천간과 지장간의 合이니 지장간을 알면 쉽게 알 수 있다.
이 밖에도 지장간끼리 합하는 것이 있으니 지지 辰은 지장간에 戊와 乙과 癸의 세 가지가 있는데 지장간 戊와 癸가 합하는 것이다. 辰이 있는 갑자는 甲辰, 丙辰, 戊辰, 庚辰, 壬辰의 다섯 가지이다. 이 다섯 갑자는 지지의 지장간끼리 戊癸合한다. 그런데 이 다섯 갑자 가운데서 戊辰과 庚辰은 천간과 지장간이 合하는 동시에 지장간끼리 合하는 복잡한 관계를 지니고 있다. 戊辰은 천간 戊와 지장간 戊가 지장간 癸 하나와 서로 합하려고 다투는 형상으로서 妒合이 된다. 庚辰은 천간 庚이 지장간 乙과 합하고 지장간 戊와 癸가 合하는 것이니 각각 合할 뿐이고 妒合이 되는 것은 아니다.
어떤 사주학자들은 천간과 지장간이 합하는 12개 갑자 가운데서 戊辰, 庚辰, 壬辰, 甲辰, 丙辰, 丙戌, 壬戌의 7개는 辰과 戌이 천지의 잡기이며 인간의 감옥이므로 합이 될 수 없다고 하고, 또 乙巳라는 갑자는 巳의 지장간 庚金이 巳의 지장간 丙火의 극을 받기 때문에 천간 乙과 乙庚合을 할 수 없으므로, 오직 甲午, 丁亥, 戊子, 己亥, 辛巳, 壬午, 癸巳의 7개 갑자만이 순수한 合을 이룬다고 주장한다. 이런 학설도 상당히 설득력이 있으니 많은 연구가 있길 바란다. 그런데 사주를 볼 때 주의할 것이 있다. 즉 한 갑자 속에서의 천간과 지장간의 합 또는 한 지지 속에서의 지장간끼리의 합은 合으로 그칠 뿐이지 化하지는 못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천간끼리의 합이 化하는 것과 다른 점이다.
5, 선현들의 이론 - 진소암이 이르되, 〔간지를 取用하는 법은, 천간을 볼 때는 깔고 앉은 지지를 볼 것이요, 지지를 볼 때에는 마땅히 천간을 보아야 할 것이다. 그것은 매우 중요하다. 예컨대 甲, 乙이 회신일 때는 寅卯亥子가 지지에 있으면 생왕한 것이고, 반대로 申酉가 있으면 극을 받으니 敗하는 것이다. 丙, 丁을 꺼리는데 지지에 亥, 子가 있으면 丙, 丁을 제복하니 좋은데 지지에 巳寅午卯가 있으면 장애가 많을 것이다. 寅卯를 좋아하는데 천간에 甲乙壬癸가 있으면 생왕이요, 庚辛이 천간에 있으면 剋敗이다. 또 巳午를 꺼리는 터에 천간에 壬癸가 있으면 제복이 되고 반대로 丙丁甲乙이 있으면 장애가 많은 것이다. 천간은 지지에 통근하고 지지의 生扶를 만나면 천간의 뿌리가 견고한 것이고 그와 반대로 지지에서 충극을 당하면 천간의 뿌리가 뽑히는 것이다. 지지도 천간의 영향을 받는데, 천간이 지지를 생부하면 지지가 그 영향으로 盛하게 되고, 천간으로부터 극을 받거나 생부하는 천간이 다른 천간에 의해 충극된다면 그 영향을 받아 쇠약해지는 것이다. 무릇 사주의 간지에 길신이 있으면서도 길하지 못하고 흉신이 있으면서도 흉하지 않은 것은 모두 그런 연고이니 어찌 자세히 살피지 않을 수 있겠는가?〕
적천수에 이르되, 〔지지가 천간을 생함이 필요한 것은 천간이 쇠하기 때문이니(지지가) 충하는 것을 두려워한다. 천간이 지지와 합하는 것은 지지가 왕하고 지지가 고요한 것(용신이 되는 지지가 충극되지 않을 것)을 좋아한다. 甲申, 戊寅은 진정한 살인상생이요(申에는 庚殺과 壬印이 있어 살인상생이고 寅에는 甲殺과 丙印이 있다) 庚寅, 癸丑은 兩神이 흥왕한 것이다.(寅에는 丙殺과 戊印이 있고, 丑에는 己殺과 辛印이 있다)〕
임철초는 이르되, 〔지지가 천간을 생하는 것은 甲子, 丙寅, 丁卯, 己巳, 戊午, 壬申, 癸酉, 乙亥, 庚辰, 辛丑이다. 일주가 月에서 득령하지 못하고 사주에서 방조하는 것이 별로 없으면 일지의 印을 用하고, 일지가 沖을 당하면 뿌리가 뽑히니 생기가 끊어지고 말아서 재앙이 가장 무겁다. 만약 일주가 득시하고 당령했거나 또는 년지와 시지에서 건록, 제왕을 만나고 또는 천간에 비겁이 중첩되었다면, 또는 관성이 쇠약하여 오히려 인성이 있어 관성의 기운을 설기하는 것을 꺼리는 등의 경우라면(일주를 생조하는) 지지가 충파돼도 두려워할 것이 없다. 총괄적으로 말해서 일간의 기세가 旺相한 것은 충을 좋아하고 休囚된 것은 충을 싫어하는 것이다. 십천간의 합은 음양이 서로 짝을 짓는 것이다. 五陽干은 五陰干을 財로 삼고, 오음간은 오양간을 官으로 삼으니 반드시 合하게 마련이다. 天合地라는 세 글자는 가볍게 보아도 상관없으나 地旺喜靜 네 글자는 중요한 것이다. 무릇 地旺이라는 것은 천간이 쇠약할 때 쓰이는 용어이고, 喜靜이라는 것은 四支에 沖剋하는 것이 없음을 말함이며 生助의 神이 있음을 말함이다. 천간이 쇠하고 조력함이 없을 때 지지에서 생조하는 것이 왕하면 천간은 반드시 기쁘게 합한다는 뜻이다. 만약 지지의 元神(지장간)이 투출하여 위의 천간과 아래의 지지가 합하였다면 위 아래가 有情하니 이런 합은 기꺼이 추구하는 바이다. 재와 합하여 재를 추구하고 관과 합하면 관을 좇는데, 십천간이 合化하는 이치와 다름이 있다. 그러므로 지지가 고요하면 안전한데 거하여 지키기를 힘써야 하나니, 동요한 즉 위태로워 도움을 바라기 어려운 것이다.〕
또 살인상생과 양신흥왕에 대해 이르되, 〔깔고 앉은 지지가 殺印인 것은 甲申, 戊寅, 庚寅, 癸丑만 있는 것은 아니고 乙丑, 辛未, 壬戌도 殺과 印의 兩神을 지닌 것이다. 癸丑은 비견이 많고(丑의 지장간 己는 癸의 칠살이고 辛은 편인이고 癸는 비견이다. 癸丑이라는 간지는 살인상생에 한 개의 비견이 첨가된 것), 戊寅 역시 비견이 없을 수가 없다.(戊寅이라는 간지도 살인상생이다. 寅의 지장간 중에서 甲은 천간의 칠살이고 丙은 편인이며 戊는 천간의 비견이다) 庚寅이 살인상생에 재가 첨가되었는데 甲申도 그러하다. 어찌 살인상생을 日主 하나만 가지고 논할 수 있는가? 년주, 월주, 시주를 모두 살펴 이치를 논해야 함이 당연한 것이다. 殺을 용할 때는 殺을 부축하고 殺을 용하지 않을 때는 殺을 억제해야 한다. 반드시 사주 전체의 기세를 관찰하고 일주가 쇠한지 왕한지를 분별한 후에 살을 생조할 것인지 극제할 것인지를 살펴야 할 것이다. 예컨대 身强殺賤하다면 재성으로 살을 도와야 하고, 身殺兩停이라면 식신으로 살을 제어하고, 殺强身弱하다면 인수로써 化殺해야 한다. 原局에서 殺重身輕한 자는 가난하거나 요절하고, 制殺이 太過한 자는 공부를 해도 뜻을 이루지 못한다. 행운을 논하자면 殺旺한데 다시 殺地로 행하면 즉시 흉함과 재앙이 닥치고, 制殺太過한데 다시 제살하는 방향으로 간다면 반드시 궁핍함을 만날 것이다. 書에서 <格은 상세히 추리할 것이지만 殺을 가장 중시하라>고 했고 또 <殺이 있으면 칠살로 논하고 살이 없으면 비로소 다른 용신으로 논한다>고 하였으니 살이라는 것이 가히 중요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서락오는 적천수징의에서 임철초와 다른 의견을 개진하였다. 서락오가 이르되, 〔육십 花甲 중에서 지지 剋 천간은 12개가 있고 지지가 살인상생하는 것도 그에 못지 않다. 그런데 어찌하여 위의 四日만 거론했는가? 그에는 그럴만한 까닭이 있기 때문이다. 甲申, 庚寅은 氣勢를 가지고 논할 때 천간이 絶에 임한 것이다. 甲은 申에서 絶이고 庚은 寅에서 절이다. 戊寅의 경우는 戊土가 甲木 七殺의 祿인 寅木 위에 있으니 역시 絶에 임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日元이 絶에 임하면 신약하고 無氣하다고 일컫는 바니, 인수가 장생함을 요망하는 것이다. 甲申의 경우에 壬水는 甲의 인성인데 壬水는 申에서 장생한다. 庚寅의 경우에는 戊土가 庚金의 인성인데 戊土가 寅에서 장생한다. 이렇게 되므로 絶處逢生이 된다. 사주 팔자에서 꺼리는 것이 변해 좋은 것으로 되는 현상은 귀하게 될 징조 가운데 하나다. 이것은 剋이 변하여 生으로 되는 것이니(甲이 申에 坐하면 申중 庚의 극을 받으나 申 중에 壬水가 장생하여 化殺한다. 庚이 寅에 坐하면 寅중 丙火의 극을 받으나 寅중의 戊土가 천간을 생한다. 이것은 모두 인성으로써 殺을 化하게 하여 身을 生하게 한 것이니 살인상생), 어찌 순수한 象이라고 하지 않을 수 있으랴? 癸丑 역시 그러하다. 癸水가 春夏에 생하면 기세가 衰絶하니 庚辛金이 그 水源을 만들어 주지 않으면 기세가 편고하게 된다. 만약 癸日이 丑 위에 앉으면 비록 사주에 金이 없을지라도 丑 중에 암장되어 있는 辛金이 土生金, 金生水하여 흐름이 끊이지 않아 생기가 저장되어 있는 상이므로 기특하게 된다. 그러므로 위의 四日에 태어난 자는 大貴格이 많은 것이다. 이 4일을 제외하고 庚午日이 있는데 午의 咸池를 깔고 앉았다고 해서 무시해서는 아니 된다. 삼명통회에서 <庚午日이 午月에 나고 丁己가 나란히 투출되면서 간지에 丙의 칠살이 없어 관살혼잡이 되지 않고 水가 없고 비견이 많으면 족히 높은 벼슬을 하고 부자가 된다>고 한 것을 알아야 한다. 이 5일은 모두 소흘히 여기면 안되니 비록 신약하다고 해도 성급하게 從格으로 논하면 아니 된다.〕
제6절 同柱干支 生剋合의 실례
한 갑자의 간지끼리 상생, 상극, 상합, 상동, 살인상생하는 현상은 이미 앞에서 서술했다. 이제부터 사주를 적어 놓고 구체적으로 분석한다.
丙丙甲壬
申寅辰申
이 사주의 일간 丙火는 년간에 壬水 칠살이 있고 그 壬水가 두 개의 申 중 壬水와 辰 중의 癸水에 통근하고 일주를 극하고 있다. 그런데 월간 甲木이 일지 寅중 甲木에 통근하여 살인상생하고 있다. 일주 간지 자체에서 보면 지지 生 천간의 현상으로써 일지에도 용신이 있다. 그러나 애석하게도 두 개의 申이 寅을 충하여 申중 庚金이 寅중 甲木을 극하여 甲木의 생기가 끊어질 위기에 처했다. 그러나 다행히 申 중의 壬水가 甲木을 생하니 水生木, 木生火로 살인상생이 되었다. 그러나 寅중 甲木은 金에게 극을 받고 土를 극하느라고 힘이 빠진데다가 다시 丙을 생해주느라고 설기가 심해서 극설교집이 되었다. 그리하여 역량이 매우 약화되었다. 만약 다시 金의 극을 받으면 용신 甲木이 여지없이 무너지고 말 것이다. 大運이 戊申에 이르면 戊土가 庚金을 생하고 水를 극하고 甲木을 고립무원의 처지로 빠뜨리게 되니 甲木의 생기가 끊어진다. 申金이 운에서 찾아와 三申이 一寅을 충하니 용신 甲木이 뿌리와 가지가 뽑히고 말아 타향에서 길을 가다가 객사하고 말았다.
甲戊辛壬
寅申丑午
이 사주의 命主 戊土가 丑月에 생했다. 우선 천간의 구조를 살펴보면 년간 壬水를 命主가 극하느라고 힘이 빠졌고 辛金을 생하느라고 설기가 심한 데다가 다시 시에 甲木 칠살이 있으니 剋洩이 交集했다. 그러므로 신약할 뿐이고 돕는 것이 전혀 없다. 그러므로 지지를 살펴 보아야 한다. 다행하게도 지지에 午의 己가 있고 丑의 겁재가 있으며 申과 寅 중에 戊土 비견이 저장되어 있다. 그러므로 午중 己土, 丑중 己土, 申중 戊土, 寅중 戊土에 통근하고 있다. 午중 丁火는 천간 壬水의 극을 받고 다시 丑중 癸水의 극을 받으면 월간 辛金을 극하고 丑중 辛金을 극하느라고 힘이 빠졌으므로 무력하다. 무력한 것은 용신으로 삼지 않고 다른 데로 눈을 돌려 용신이 될만한 것을 찾아야 한다. 어쨋든간에 지지에 戊, 己의 土가 쫙깔여 있어서 위와 아래가 서로 돕고 협력하니 유정하다. 또 申중 庚金은 寅중의 甲木 칠살을 沖去하고 월간 辛金도 일간이 제일 싫어하는 甲木을 제어하는데 한몫 거들고 있다. 그러므로 이 사주는 상관 辛金이 칠살 甲木을 극하는 용신이 되므로 상관제살격이 되었다. 원래는 申 중의 庚金을 용신으로 삼는 것이 원칙이지만 동일한 오행이 천투지장했을 경우에는 천간의 오행으로 용신을 잡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사주는 丑月에 생하고 지지에 동류가 많기 때문에 인성이나 비겁으로 용신을 삼지 않고 칠살을 제복하는 식신상관을 용신으로 정한 것이다. 대운이 丙寅으로 바뀔 무렵 세운이 丙寅인 시기에 용신 辛金이 合이 되어 무력해지고 다시 칠살 甲이 寅에 통근하여 강해지니 제복에서 벗어나 제멋대로 날뛰기 시작했고 지지의 二寅이 한 개의 申을 충하고 寅중의 丙火가 대운과 세운의 도움을 받아 申중 庚金을 극하는 데다가 寅중의 甲木과 시주의 甲木이 연합하여 일주가 의지하는 金과 土를 火木으로 극하였다. 이렇게 되자 그 해 타살되고 말았다.
丁戊己丁
巳子酉亥
이 사주의 命主 戊土는 시지에 건록하고 천간에 己와 丁의 비조를 받고 있어서 약하지 않다. 월지 酉金 상관이 亥子水 재를 생하니 酉를 용신으로 삼는다. 亥酉子로 金水가 서로 상생하고 유정한데다가 일지 子의 지장간 癸水가 일간 戊와 합하니 재물이 나에게 찰싹 달라붙는 형세다. 대운 辰에 이르러 辰이 월지 酉와 합하여 金으로 되지만 용신의 본질이 변한 것은 아니라서 해롭지 않고 오히려 辰과 일지 子가 子辰 半水局을 이루어 財局이 되니 金水가 더욱 왕해져 수억의 돈을 벌었다.
甲戊戊庚
寅寅寅寅
일간 戊土가 寅月에 생하고 戊가 천간에 투출했다고는 하지만 지지가 모두 寅이고 寅月의 本氣 甲木 칠살이 투출하여 상하가 밀접히 결합하여 있어 그 역량이 막강하다. 칠살에 從하려고 하나 년간 庚金이 있어 파격이 되었고 庚金 식신을 용신으로 삼아 甲木을 제어하고 싶으나 木多金缺이니 약한 庚이 강한 甲을 제복시킬 엄두가 나지 않는다. 그러므로 寅중의 丙火로 살인상생하는 용신으로 삼고 寅중의 戊土로 보조한다. 그러므로 丙火 인성이 살인상생하는 용신이 되고 사주가 순수하니 大貴格을 이루었다.
丙癸乙丁
辰丑巳巳
일간 癸水가 巳月에 나고 천간에 乙丙丁이 투출하고 다시 지지에 두 개의 巳火가 있으니 재성이 몹시 왕성하다. 더구나 四支에 土가 있어 일간을 극하니 극설교집이니 신약함이 확실하다. 그러나 일간 癸水가 辰의 水庫에 통근하고 坐下 丑중에 辛이 있으니 살인상생이다. 일지 癸水 지장간 비견이 있어 일간을 방조하고 있고 巳丑 속의 金氣가 또한 일간을 돕고 있다. 그러므로 丑중 辛金이 용신이 된다. 대운 辛丑, 庚子 金水운에 일주를 생조하여 최고의 부귀를 누렸다.
丙乙庚甲
子卯午寅
일간 乙木이 卯에 坐하고(전록) 년주 甲寅의 도움을 받고 다시 시지 子水의 생조를 받고 있으니 약하지 않다. 그러므로 월간 庚金 정관을 용신으로 정하고 싶은데 불행하게도 庚은 午를 깔고 앉아 밑으로부터 극을 받고 시간 丙火의 극을 받으니 용신이 될만한 역량이 없다. 시간 丙火 상관을 용신으로 삼을까 했더니 子를 깔고 앉았고 子午沖으로 뿌리가 동요하고 있다. 불행히도 운이 金水로 달려 金木水火가 서로 싸우느라고 정신이 없어 庚과 丙이 갈팡질팡하며 임무를 완수할 수 없다. 乙亥 大運에 水木의 기신이 극성을 부려 거지가 되었다.
壬乙己乙
午亥卯丑
乙木이 卯月에 생하고 천간에 乙이 투출하고 지지에 亥卯 半合 木局을 이루고 亥丑의 水氣가 모이고 다시 천간에 壬水가 도우니 水木이 왕하다. 월간 己土 편재가 丑에 통근하고 시지 午에 녹을 얻으니 身財兩停인 듯이 보인다. 그러나 己土가 년간 乙木의 극을 받고 월지 卯의 지장간 乙의 극을 받으니 있으나마나한 존재가 되었고 시지 午의 己土는 일지 亥의 甲木과 암합하고 시지 午의 丁火는 시간 壬과 일지 亥의 壬의 극을 받아 무력하다. 그러므로 上下가 無情하며 용신이 힘이 없어 초년운 火土에 부모 유산이 있어 근근히 살아가다가 대운이 乙亥에 들어서자 水木이 일제히 용신 火土를 극하였다. 이에 처자를 남에게 팔아먹고 스스로는 삭발하고 중이 되었다. 그러나 불문의 계율을 지키지 못하고 山門에서 뛰쳐나와 떠돌아 다니다가 길가에서 추위와 굶주림에 시달리다가 얼어 죽고 말았다. 이 사주는 군비쟁재하여 재앙이 닥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상에서 간지 상하가 상생, 상극, 상합, 상동, 살인상생하는 관계를 살펴 보았다. 사주에서 喜用이 되는 간지는 반드시 상하가 유정해야 좋고, 비록 絶處일지라도 한 가닥의 생기만 있으면 부귀할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그러나 그렇지 않다면 일패도지하고 횡화와 참사를 면하기 어렵다.
'명리학의기초.통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두가지 기운으로 된 사주 (0) | 2009.12.13 |
---|---|
[스크랩] 스위시 영상이 안보일때는 (0) | 2009.12.13 |
[스크랩] 지지의 회합형충파해 분석 (0) | 2009.12.11 |
[스크랩] 천간의 生剋合化 (0) | 2009.12.11 |
[스크랩] 지지충(화풍정) (0) | 2009.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