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성의 역할과 작용
1.식상을 극제한다.
(1)상관패인 - 전문직
상관을 잘 억제해서 쓸모있게 한다.
패인이 안되어 있어도 행운에서 인성운이 오면 그때 상관패인이 되어 전문적인 지식이나 기술, 그 동안 갈고 닦아온 실력을 발휘한다.
*인성 - 수용, 배움, 입력, 흡수, 전문화된 특화된 자격,증, 그 동안 갈고 닦은 실력.
*식신 - 배출 출력 활용
(2)도식
식신의 생재작용을 막아서 식신의 생산력과 활동을 중단시킨다.
재성을 고립시킨다.
생산력 활동력중단, 사업실패, 질병, 궁핍 - 식상(표현, 미래지향적, 진취적 기상)
①재성이 있으면 편인의 도식작용을 막는다.
②정인이라도 정인편중, 정편인혼잡은 도식작용을 한다.
2.관성을 설기한다. [자리, 직책, 인성이 사용할 공간]
(1)설기 -빛내준다 (전문화된 지식과 자격을 인정받는 운, 활용하는 운)
방향제시. 지켜준다(상관으로부터) - 관인상생, 살인상생
(2)도기 -자리불안, 직업이나 진로의 수정, 변동
(3)관살혼잡(편중)또는 무력해질 때 -지나친 술수나 경거망동을 주의하라. 자승자박.
3.일간과 비겁을 생한다. [정인 - 전부 수용, 편인 - 필요한 것만 수용]
일간의 강약과 제화작용(편인)을 살펴라
편인은 일간을 무정하게 생한다.
편인은 겁재가 있으면 겁재로 쏠린다. (일간에게 갈 복을 겁재로 빼돌린다.)
편인은 재성의 통제가 필요하다. (계모는 아버지가 똑똑하면 제 역할을 한다.)
인성이 많아도 재성이 필요하다.
*재성이 있으면 현실, 실천, 검증받은 활용할 수 있는 실력과 기술이고 지식
*재성이 없으면 편중된 공부, 써먹을 수 없는 공부, 자아도취
*편인의 단점
- 의심이 많다.
- 결과에 대한 확신을 못한다. (제화되면 맹신, 발군의 실력)
- 상관이 끼도 되지만, 편인이 있어야 한다.(기술, 기능, 종교, 정신, 교육, 한의, 구류술업)
*정인은 순수하게 받아들이고 고집스럽게 주장한다. 일간의 뿌리가 없는 신약사주는 제화된 편인이 아니면 편인운이 별로 좋지않다.
*정편인 혼잡 또는 혼잡되는 운 - 가치관의 혼란, 정신적인 갈등이 생긴다.
●정인의 역할과 특성
받는 것, 정인이 없으면 받을 복이 없다. 살아가는 데 없어서는 안될 것 - 공기, 물, 음식 ....
1.일간을 생한다.
①편인은 계산적, 기분 상황에 따라서 생 또는 방해한다.
②정인은 대가없이 일간을 생한다. 정인은 많아도 괜찮으나 편인이 혼잡되면 문제가 있다.
③정인은 자존심(믿는 구석이 있다),보수적,정통성 주장.
*믿는 구석 - 어머니, 윗사람, 선생님, 귀인, 신앙대상, 印證(도장,결재권, 증서)
2.관살을 설기한다.
①정관 - 위치를 확고하게 해주고, 빛나게 해준다.
②칠살 - 제화시킨다.
정인(認定) + 관성(자리)
*정인(선비) + 정관(법대로) = 고지식 융통성無, 원리원칙주의자, 명분이나 명예를 중시한다.
*정인(덕, 자비) + 편관 = 殺이 순화
<문제점>
根이 없는 정관이나 칠살이 도기당할 때는 독선적, 자기위주, 외골수 된다.
살인상생은 오랜 시간이 필요.(살인자가 개과천선해서 사회에 도움이 되려면 오래 걸린다.)
식신제살은 즉시 칠살을 활용할 수 있다. 사주자체에서 인성이 약해서 살인상생이 힘들 때, 운에서 인성이 오면 효과가 나타나지만, 사주자체에 인성이 없을 때, 운에서 인성이 온다고 효과가 즉시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인성이 없으면 항상 피해의식에 사로잡혀 있어서 다른 사람의 사랑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거리를 둔다.
편인은 계산하고 필요하면 받아들이나 정인은 의심없이 순수하게 받아들인다. 편인은 즉흥적, 편협적, 왜곡적으로 받아들인다.
편인 - 즉흥적, 직감적, 신비적, 순발력, 취사선택적, 변덕(정인은 고집)
3.상관을 극제한다.
정인은 식상에 피해를 주지 않는다. 정인은 상관을 다스릴 수 있는 존재가 된다.
상관은 정인을 만나야 제대로 활용할 수 있다.(상관패인)
일간만 생해주는 정인은(무관살에 무식상) 자기위주, 자존심, 고집불통이다
●정인운의 사주통변과 예문Ⅰ
1.일간과 비겁을 생하는 역할
*비겁이 왕하면 받아들이지 않는다.
*편인이 있으면 필요한 것만 받아들인다.
[정인]
- 수용능력, 승계, 상속, 연결, 정통성, 보수, 합리적, 보편, 타당, 상식적
- 일간의 강약에 따라 분리작용과 합력작용이 구분된다.
분리작용으로 나타나면 정인의 길작용(수용능력, 승계, 상속, 연결, 정통성)이 없어지고, 인내심이 없어진다. 극신약인 경우도 분리작용으로 나타난다.
2정인多, 정편인多 (식상을 극제한다)
생각만 많고, 행동은 하지 못한다. 우유부단, 갈등, 너무 조심 - 인성이 와서 식상을 파극시킬 때 나타난다.
*상관패인 吉 - 똑똑하고 진퇴가 분명하다. 상관(전진) + 인성(숙고)
상관(일) + 정인(공공기관의 인정) = 士 = 변호사, 의사, 약사, 간호사, 회계사
*파료상관과 상관상진凶
3.관살을 설기시킨다.
인성은 실력, 자격증이고 관성은 인성이 실력이나 자격증을 활용할 수 있는 공간, 직책, 직위이다. 관성은 인성이 없으면 항상 불안 인성은 관성이 없으면 자리가 없다. 제야선비
인성이 좋은데 관성이 무력하면 항시 직책에 대한 불만이 있다.
관성이 좋은데 인성이 무력하면 자격시비에 휘말린다.
- 네가 그 자리에 있을 자격이 있느냐?
- 일의 효율성, 집중력, 능력이 떨어지고, 갈팡질팡한다.
- 자리는 좋은데 일을 할 줄 모른다.
[정인]
*수용능력 *배우고 갈고닦는 능력 *정통성 *보수적 *가치관 *이성
*정인(정통, 보수)과 상관(개혁, 진보)은 반대. 편인은 신비, 종교적
*공기, 물 등 세상을 살아가는 데 필요한 모든 것
*편안한 공간, 내가 의지할 수 있는 사람, 神, 후원자, 어머니
비겁과 정인운
(1)일간생조면 무조건 좋다.(희용신)
- 업그레이드, 승진, 영전, 합격, 좋은 집으로 이사,
자격획득, 인허가, 윗사람의 도움
- 겁재가 희용신일 경우는 더 의욕적, 적극적이다.
- 정인은 일간도 돕고, 겁재도 돕지만, 편인은 겁재쪽으로 쏠린다.
(2)비겁다(多)면 정인을 거부한다.
- 간섭으로 받아들인다.
- 기존의 질서나 틀에서 벗어나려고 한다.
- 분탈작용(경쟁에서 밀린다. 서류상 하자가 발생한다)
(3)인성혼잡 또는 강해지면 식상을 극한다.
- 활동, 투자, 재테크면에서 凶하다.
- 신경과민 우울증 부부갈등
(4)정인운은 크게 나쁘지 않다. 편인운이 대흉하다.
(5)일간의 뿌리가없는 사주는 정인운이 오면 정신적은 좋으나 행동으로 옮기지는 못한다.
時 日 月 年 坤命
戊 甲 壬 壬
辰 午 子 子
53 43 33 23 13 03
丙 丁 戊 己 庚 辛
午 未 申 酉 戌 亥
*무관사주
*부목우려 - 무토가 제방역할
*억부용신 무토
*격국은 편인격, 재성이 용신
- 편중, 혼잡된 경우는 편인 성분이 나타난다.
- 자오묘유 일지라도 이런 상황이면 편인격으로 취급한다. (子의 壬이 투간된 것으로 보고, 가급적 나쁜 쪽으로 본다)
*정편인 혼잡
- 정인운이 오면 갈등이 생긴다.
- 지지 인성운(子, 亥) - 파료상관 - (진취, 진보, 활동)이 중지된다.
*己대운
- 열심히 활동하나 결과가 없다. 임수를 극제하지 못한다.
*癸未년은 천간 정인운
- 戊癸합
- 戊는 격용이자 억부용
합은 변하고 묶인다.
개인적인 활동 및 사회적인 활동이 위축된다.
- 무계합火 火기로 변한다. 火는 식상이므로 일을 벌리려고 한다. 일을 벌리면 묶인다.
- 戊 + 癸[문서, 서류] 문서 서류가 와서 묶는다.
즉 문서 서류상 하자가 발생한다.
*甲申년
- 甲 : 정신적으로는 후련하다. 나와 고통을 같이 할 수 있는 사람이 나타난다.
인성과다로 인한 부담이 줄어든다
- 申 : 申子辰삼합, 실제 상황으로는 어려워진다.
- 천간은 정신, 협력자 동반자가 나타나지만, 지지는 실질, 물질상 흉하다.
- 즉 겉으로 드러나는 것은 협력자가 나타나서 고통이 줄어드는 것같아 괜찮아보이나 실제로는 어렵다.
*이러한 사주는 수용능력에 문제가 있다.
*부모와 함께 있으면 불안하게 되고, 남자는 마마보이가 된다. 일찍 부모곁을 떠나 독립해야 한다. 이러한 아이를 낳으면 동생을 빨리 가져라.
*자오충은 밤낮이 바뀐다. 외국을 많이 다닌다. 불면증이 있다.
●.정인운의 사주통변과 예문Ⅱ
時 日 月 年 坤命
壬 甲 己 壬
申 子 酉 子
58 48 38 28 18 08
癸 甲 乙 丙 丁 戊
卯 辰 巳 午 未 申
1 火× - 무식상 사주
2 일간 無根 - 浮木우려
3 정편인 혼잡
①일간이 수용하지 못한다.
②관살을 도기시킨다 (편인이 극할 것이 없으니 - ①극②설③생) 생각多나 실행하지 못한다.(정신면 强, 현실면 弱) 직위 자리불만,
여자이므로 남편에게 만족을 못한다 자기위주로 생활한다.
4 丙午대운은 도식작용이 아니라 투식작용 丙만 들어오면 쓸모가 없으나 午가 따라 들어오므로 활용할 수 있다. 식상운이 오면 지금까지 배워온 실력을 활용할 수는 있으나 재성이 약하므로 결과를 얻기 어려워 만족을 못한다.
5 壬년 癸년에는 더욱 갈등이 심하다.
6 己토가 뿌리를 내리는 시기에 돈을 조금 번다.
7 진로변화 이직을 해도 자리에 대한 불만은 생긴다. 천간 癸수이므로 정신적으로는 갈등이 생기나, 未토가 甲목과 己토의 뿌리가 되므로 현실적으로는 편안해진다.
8 결혼은 언제 하겠는가?
丙 - 식신은 생산 즉 아이를 낳는다.
戌 - 신유술 금국
- 관성이 살아나고, 戌토가 水인성을 제어하여 관성이 도기되는 것을 막아준다.
甲 - 정재 甲 甲 - 두마음, 갈등이 더 심해진다.
申 - 申子 수국 子 申
[상대 남자]
時 日 月 年 乾命
甲 甲 庚 壬
子 午 戌 子
53 43 33 23 13 03
丙 乙 甲 癸 壬 辛
辰 卯 寅 丑 子 亥
1 일간무근
- 뿌리가 없으면 주관이나 주체성이 없으며 자주 변한다.
- 戌토 재성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子午충해소, 경금의 뿌리, 처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2 살인상생
3 인성이 관살을 설기시키고 상관을 제압하는 사주구성이지만 일간의 뿌리가 없다는 점이 아쉽다.
4 궁합
①조후
坤 - 온기가 없다.
乾 - 온기가 약하다.
②부족한 오행
坤 - 木, 乾 - 木
둘다 보수적이고, 이기적이다.
③남자의 처복 처덕 > 여자의 남편복 남편덕
(참고)
*일지 沖
*같은 甲목(대장)일주
*일간의 뿌리가 없으면 주관이 없고 자주 변한다.
인성이 많으니 이론적으로 따지기를 좋아하고 이기적이다.
*덕 - 품행, 사회적인 활동력
복 - 경제적 능력
식신
- 표현능력
정인
- 수용능력
- 연구능력
- 식신으로 표출한 만큼 채워주는 보충작용
- 證, 자격화
식신 + 정인운
연구에 대한 인정, 인허가사항 취득, 자격취득 등 인정받는 것.
단, 식신제살하는 구조에서는 정인이 식신의 제살을 방해하므로 흉하다.
의외의 계획변동으로 사고나 관재수를 당한다.
●상관과 정인운 <상관패인>
자격획득 뜻대로 이루어진다. 업그레이드
단, 상관이 약한 상태에서 인성이 강하면 파료상관이 되어 凶하다.
時 日 月 年 乾命
丁 乙 戊 庚
亥 丑 寅 戌
57 47 37 27 17 07
甲 癸 壬 辛 庚 己
申 未 午 巳 辰 卯
1 癸未년
癸수 克 丁화 戊토가 戊癸합으로 방어한다,
편인과 정재가 합하므로 계획(아이디어)을 현실적으로 활용하게 된다.
2 격국이 불분명 직업변동이 많을 수 있다.
3 사오미 대운이 吉하나 개두되어 기복이 심하다.
辛巳대운 - 巳화가 戊토의 祿지이므로 재격으로 볼 수 있다.
壬午대운 - 寅午戌화국 - 식상격 가능.
4 재격으로 변모된 사주이므로 사업이 가능하나 정재이므로 안정적인 사업을 해야한다.
[중고차 판매, 수출업]을 壬午년에 시작했다.
재성과 정인운
[편재와 정인운]
(편재 : 유동성, 현금 정인 : 문서, 증)
- 양일간은 편재와 정인이 合한다.
時 日 月 年 坤命
戊 甲 壬 壬
辰 午 子 子
57 47 37 27 17 07
丙 丁 戊 己 庚 辛
午 未 申 酉 戌 亥
1 戊토가 중요한 역할
2 癸未년 戊토 편재와 癸수 정인이 合한다.
↘이동공간 ↘문서
유동성 證
현금
현금과 문서의 合 - 현금과 문서의 교환
戊癸合火(식상 - 吉작용)
문서취득이나 투자는 吉하나 용신이 묶였으므로 하는일은 잘 안된다. (원인)용신이 아니면 좋은 쪽으로 해석을 해도 되지만 戊土는 격용신이면서 억부용신이므로 편재는 인성을 극제하는 작용을 하면서 식상을 설기시키는 작용을 한다.
자기 일(사회적인 활동)을 위해서 새로운 것을 배우는 운(印 - 공부, 지식)이 된다.
(1)양일간은 편재와 정인이 합한다.
庚일주의 편재 甲은 정인 己와 합한다.
편재 - 유동성, 현금(정재는 고정자산), 대중성(정재는 개인성)
정인 - 문서, 증
편재와 정인의 합은 현금과 문서의 결합
- 투자성이 있는 것을 사는 것
- 문서와 현금을 교환하는 것
- 편재(뇌물 커미션)을 통해서 인허가권을 따는 것
- 매매, 로비, 이권, 증권, 출판
(2)편재의 역할
①관성을 생한다 이때 정인운을 만나면
- 인정을 받는다.
- 이권, 허가권, 하청을 받는다.
- 정부의 결제를 받는다.
②식상을 설기한다. 이때 정인운을 만나면
- 정통성있는 실력을 받아서 한단계 상승하는 운이다.
- 지식, 기술을 배우기 위해 시간과 돈을 투자한다.
③인성을 극제한다.
편재 + 편인 = 복권
편재 + 정인 = 대중성,융통성,투기 + 정통성,정석,문서
= 넓은 공간에서 자기만이 알고있는 자신의 실력을 펼친다.
= 출판, 전시, 주식투자, 부동산, 이성관계도 해당
정재는 정해진 공간, 자신만의 공간
[정재 + 정인운]
정재 - 욕심, 소유욕
정인 - 양심, 합리적, 보수적, 선비사상 욕망과 이성의 갈등이 생긴다.
가정 - 고부갈등, 상사와 갈등
공간 - 자리를 확보하려는 욕심과 명분사이의 갈등
- 정인운은 식상(활동)을 위축시키므로 정재의 욕심이 채워지지 않아서 정재가 불만을 품는다.
정관와 정인운
관인상생, 서로 불가분의 관계
정관에 정인이 없으면 자리불안, 끌어줄 사람이 없다.
정인이 있고 정관이 없으면 실력이 있어도 자리가 없다. 인정받지 못한다.
정관 + 인성운
인정받고, 상사가 끌어주고, 합격, 승진, 계약성사, 승소, 결제, 허가 ....
인성 - 문서, 보장, 실력, 증, 후원자, 허가, 합격, 결제 승진, 취직, 인허가사항, 결혼
대체로 吉한 작용을 한다.
단,
①정관의 도기, 인성의 혼잡, 정관약 인성多가 되면 정신적인 갈등, 미래에 대한 불안.
②관성이 도기당하는 운에서는 민감, 허둥, 눈치, 설친다
(생각속에 빠져서 잘못된 계획을 세운다. 自作之禍)
③상기운에는 초지일관하라! 정인운은 그렇게 나쁜 작용은 안한다.
●정인운의 사주통변과 예문Ⅲ
편관과 정인운
편관과 정인도 좋은 관계 - 살인상생
편관 - 행동력, 현실참여
정인 - 인정
<항상 살펴야할 사항>
①식상제살인 경우 인성운이 와서 식상을 파극하면 大凶하다.
②식상을 파극치 않더라도 식상제살을 하고있는 정인운은 극설교가되어 凶하다.
③칠살이 약한 경우 정인운이 와서 정편인이 혼잡되어도 凶하다.
인성과 정인운
정인과 정인운
편인과 정인운
갈등이나 회의 정도, 바꿔보고 싶은 생각?(정인에 편인운은 치명타)
<주의>
정편인 多 + 정인운 = 식상이 약해진다.
- 식상이 무리가 없다면 정신적인 갈등, 가치관의 혼란, 진로수정, 계획수정, 루머나 감언설로 부화뇌동하면 사기당한다. 맹신
인성운
①식상의 동태
- 도식
- 상관패인
②관성의 동태
- 살인상생, 관인상생
- 도기
③일간과 비겁의 동태
- 제화유무(편인)
- 일간의 강약(일간의 뿌리)
- 겁재의 유무 편인은 겁재가 있으면 겁재로 쏠린다. 편인은 일간의 뿌리가 있어도
일간을 잘 돕지 않는다. 재성의 제화가 있는 편인은 일간을 도와준다
재성 +인성 = 현실적 공간확보, 인허가, 문서와 현금을 교환, 업그레이드를 위한 공부
인성 + 인성 = 가치간의 혼란, 계회이나 진로수정
時 日 月 年 坤命
乙 乙 甲 戊
酉 丑 寅 申
57 47 37 27 17 07
戊 己 庚 辛 壬 癸
申 酉 戌 亥 子 丑
1 水火無 - 인성無 식상無
식상설기 - 식상미약
관성으로 제화 - 관성용신
2 癸 + 戊 = 火(식상 - 표현력, 활동)
癸편인 - 순간적인 계획, 순발력, 필요한 지식
戊정재 - 공간
= 투자를 위한 공부, 투자를 위한 공간확보
3 金의 입장
癸未년은 戊癸合으로 관인상생이 안된다. 壬午년은 관인상생이 가능하다.(申의 壬수가 발현)
4 식당운영 - 계미년은 매뉴를 바꿔서라도 이득을 취한다.
酉丑合 - 丑중 계수가 살인상생 - 애인과 내통할 소지가 있다.
申남편은 甲寅에 의해 차단되어 있으며 관성이 제화(살인상생&식상제살)가 안되어 있다.
6 丑未충 - 일지(자궁)를 건들었다.
- 未財는 火氣(식상 - 욕구)를 띤다.
- 재생관이 흔들리면서 바람난다.
여담]
*상관
- 바가지, 나 거들지마!
- 년월에 상관이 있는 여자는 무섭다.
- 상관이 있어도 상관생재 재생관이 되면 吉하다.
*인성이 없다 - 받을 복, 윗사람 덕이 없다.
- 조상궁에 귀인이 있는데 沖(申 - 천을귀인)
- 시댁조상(申官:남편)이 가져다주려고 해도 차단되어 있다.
- 조상과 주파수를 맞추어라!(천도제, 기도)
- 合(활동중지)이 되어 있어도 마찬가지로 풀어서 써먹는다(조상에게 활동비를 주어라!)
*없는 것은 인연이 없다. 있어도 合, 沖되어 있으면 合, 沖이 풀릴 때 써먹는다.
*巳운 巳酉丑합 - 딴 남자의 애를 낳는다. 바람.
*대운에서 오는 뿌리는 원국에 있는 것보다는 약하다.
그 기간 동안은 활용한다. 단, 대운에서 오는 것은 흔들린다.
寅酉원진 - 상극이면서 미련을 갖는 것이 원진이다.
정인운/정관와 정인운
편재와 정인운
편재 : 유동성, 현금 정인 : 문서, 증
(1)양일간은 편재와 정인이 합한다. 庚일주의 편재 甲은 정인 己와 합한다.
편재 - 유동성, 현금(정재는 고정자산), 대중성(정재는 개인성)
정인 - 문서, 증
*편재와 정인의 합은 현금과 문서의 결합
- 투자성이 있는 것을 사는 것
- 문서와 현금을 교환하는 것
- 편재(뇌물 커미션)을 통해서 인허가권을 따는 것
- 매매, 로비, 이권, 증권, 출판
(2)편재의 역할
①관성을 생한다 - 재생관 관생인 이때 정인운을 만나면
- 인정을 받는다.
- 이권, 허가권, 하청을 받는다.
- 정부의 결제를 받는다. 식상을 설기한다. 이때 정인운을 만나면
↘실력
- 정통성있는 실력을 받아서 한단계 상승하는 운이다.
- 지식, 기술을 배우기 위해 시간과 돈을 투자한다.
편재 + 편인 = 복권
편재 + 정인 = 대중성,융통성,투기 + 정통성,정석,문서
= 넓은 공간에서 자기만이 알고있는 자신의 실력을 펼친다.
= 출판, 전시, 주식투자, 부동산, 이성관계도 해당
정재는 정해진 공간, 자신만의 공간
정관와 정인운
관인상생, 서로 불가분의 관계
(1)정관이 정인이 없으면 자리불안, 끌어줄 사람이 없다.
(2)정인이 있고 정관이 없으면 실력이 있어도 앉을 자리가 없다. 인정받지 못한다.
(3)인성 - 문서, 보장, 실력, 증, 후원자, 허가, 합격, 결제
4)단점
①정관의 도기, 인성의 혼잡, 정관약 인성多가 되면 정신적인 갈등, 미래에 대한 불안.
②관성이 도기당하는 운에서는 민감, 허둥, 눈치, 설친다.(생각속에 빠져서 잘못된 계획을 세운다. 자작지화)
③상기운에는 초지일관하라! 정인운은 그렇게 나쁜 작용은 안한다.
역할 핵심요약과 편인운
印星
- 受 받을 수 - 유산, 도움
- 修 닦을 수 - 學, 수양, 종교
- 守 지킬 수 - 證, 재산의 문서화
식상과 편인운
①식상은 지금까지 몸으로 때우던 일을 인성을 만나면 머리를 써서한다.
②지식과 자격(證, 노하우)을 이용해서 성장하려고 한다.
③식신이 편인을 만나면 도식이 된다(재성을 찾아라!)
④상관이 편인을 만나면 상관패인이 되는가를 보라! 단 도덕성에 문제가 있다. 정당성 없으면(제화가 잘못되면) 허풍, 모략, 사기성을 띈다.
재성과 편인운
<정재와 편인운>
정재 편인
①소유욕, 내 것 ①즉흥적, 직감적
②현실적, 정당성 ②비현실적, 신비적
③합리적(타산적, 계산적) ③전문적,취사선택적수용
④정해진 공간 ④순발력, 임기응변적
乙일간에 戊가 있으면 癸未년에 戊癸합한다.
合하면
①변질(바꾸고, 업그레이드)되고,
②변화한다.(현실감각에 맞게 활용)
戊癸合火(식상)
①말이나 행동으로 옮기고
②투자한다.
운>
편재
①유동성, 통제성(공간차지, 확보)
②의외성
③소유욕
안정성이 없다. 편인도 비현실적이고 즉흥적 ....
급하게 서두르면 사기를 당한다. 뇌물을 써도 잘못 쓰게 된다.(편인의 생각이라서)
☞ 매사 확인요망
확실한 것이 아니면 하지마라!
감언이설에 주의하라!
정관과 편인운
①민감해진다.
②정관(자리) + 편인(특수화, 자격화)
└ 즉흥적으로, 편법, 잘못되면 자작지화
③정관(자리) + 정인
└ 계획대로
편관과 편인운
(1)편관의 제화상태
①식상제살 - 편인운(즉흥적인 생각, 편협된 생각) 식상제살을 방해한다. 치명적, 설상가상(괜히 일을 벌려서 망신당한다) 관재수(식상파극 - 부도, 칠살극아 - 관재수)
조언 - 절대로 계획을 바꾸지마라! 당신의 생각은 즉흥적인 생각, 편협된 생각이다.
②살인상생 - 인성이 없거나 약한 사주는 吉 특화, 전문화된 것을 인정받게 되고, 자격 지위가 확고해지고, 후원을 받고, 억눌려있던 일들이 술술 풀린다.
③합살
(2)정인이 있는데 편인이 오면 凶, 편인이 있는데 정인이오면 吉
정인이 있는데 편인이 오면 가치관에 혼란을 초래한다.
정통성을 고집하고, 계획 순서에 입각해서 진행되던 일을 즉흥적인 판단에 의해서 처리하고자 한다.
①진로변경
②목표수정
③합리적 보편적인 생각이 즉흥적이 되고 질서가 무너진다.
정인과 편인운
정인이 편인을 만나면 오래가지 않는다.
원조를 받는 일도 편인은 지속적이지 못하고 일시적, 단발적이다. 그래서 편인은 급하게 생각한다. 가치관 혼란, 계획과 질서가 무너진다.
時 日 月 年
甲 庚 乙 己 癸
申 辰 酉 丑 未
乙木입장에서 亥水나 壬水가 없으니 순수하게 받아들인다.
원조를 받지못하던 乙木이 원조를 받고, 계획(인성)을 세우고, 순발력(편인)을 가지고 현실화(정재)시킨다.
편인과 편인운
식상의 동태를 잘 살펴라!
편인 극 식상 - 행동력이 줄어들고, 망상만 커진다.
비겁과 편인운
①겁재가 있는데 편인운이 오면 문서에 의한 사기, 부도.
②내 몫을 동료나 친구가 가로채간다.
③직장인은 승진이 안된다.
즉, 내게 올 印이 타인에게 간다.
印星 ①윗사람 ②후원자 ③결제권(도장) ④문서
生 劫財
└ 고집, 밀어붙이는 작용, 편인 + 겁재 = 순간적인 생각으로 고집스레 밀어붙인다.
편인운이 오면 꼭 일을 재차 확인하고, 급하게 처리하지 마라!
편인운은 신약해도 별로 도움이 안된다.
비견 + 편인운 = 변덕, 의심
비겁이 커지면 재성이 약화되므로 편인이 조절이 안된다.
오히려 재성이 없으면 괜찮다(비겁이 편인을 빼내버리므로)
식신과 편인운
재성이 있어도 타격이 있다. 癸 극 丁 = 己[우산]이 있어도 비가 안오는 것은 아니다.
乙 丁 己 + 癸[편인] = 재성[己]이 없으면 도식
도식 - 부도, 실직, 사기, 배신, 분실, 질병, 자궁질환
식신격은 직장에서 짤린다. 격은 사회, 직장. 격이 아니면 질병 ....
식신
①생재 - 도식은 부도, 실직
②일간설기 - 건강 凶, 정신면에서는 노이로제, 스트레스
③제살 - 식신을 편인이 건들면 사고당한다.
상관과 편인운
①상관패인 - 벤처(흉하면 사기, 허풍, 교주)
②정인으로 상관을 잘 제어하고 있을 때 편인운이 오면 문제가 발생한다.
③양일간은 상관과 편인이 합한다.
甲 (丁 壬) 일 경우 乙이 있으면 위험
- 겁재라서 개인주의, 자기위주, 정당성에 문제
양간은 상관보다 식신을 잘 활용한다.
아랫사람을 교육, 활용, 통제한다.
대체로 흉작용이 많다
'명리학의기초.통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여자에게 정인 편인 (0) | 2009.12.17 |
---|---|
[스크랩] 남자에게 정인, 편인 (0) | 2009.12.17 |
[스크랩] 正印의 作用 (0) | 2009.12.17 |
[스크랩] 偏印의 作用 (0) | 2009.12.17 |
[스크랩] 정관론-오성명리 (0) | 2009.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