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리학의기초.통변

[스크랩] 정인이야기

정인이야기

 

 

사주의 구성에서 일간인 나를 도와주는 오행을 인성이라고 한다.

인성은 정인과 편인으로 나누어진다. 이 중에서 음양이 다른 것이 정인이고, 음양이 같은 것은 편인이다.

정인(正印)을 한자로 풀이하면 바를 정(正)과 도장 인(印)이다.

즉 올바른 도장(圖章)이라는 의미이다.

정인을 인수(印綬)라고도 부른다. 이때는 도장 인(印)과 끈 수(綬) 즉 도장 끈이라는 뜻이다.

고대 중국에서는 인(印)은 관직의 표시로 패용한 금속류의 조각물을 말한다. 즉 도장인 것이다. 그리고 수(綬)는 직인을 허리에 차는 데 쓰이는 끈이다.

사주에서 정인이 적당하게 있으면 학문, 교육, 명예, 덕망, 자비, 품위가 있고 인격이 고상하며 머리가 총명하고 배움에 대한 끊임없는 열정이 있다.

 

정인이 정관의 도움을 받는 사주는 대학자나 교육계의 고급관리가 많고, 정인이 편관의 도움을 받는 사주는 군인, 법관, 경찰관의 고위급 인사가 많다고 한다.

또한 정인은 육친관계에 있어서 남녀 모두 모친 즉 어머니를 나타낸다.

따라서 정인이 적당하게 잘 구성된 사람은 어머니의 도움을 많이 받고 자란다.

이러한 정인의 성격이 많이 나타나는 경우는 월지가 정인(인수)인 경우이다.

월지 정인은 다음과 같다.

갑(甲)목 일간이 자(子)월에 태어나면 월지가 정인이다.

을(乙)목 일간이 해(亥)월에 태어나면 월지가 정인이다.

병(丙)화 일간이 묘(卯)월에 태어나면 월지가 정인이다.

정(丁)화 일간이 인(寅)월에 태어나면 월지가 정인이다.

무(戊)토 일간이 오(午)월에 태어나면 월지가 정인이다.

기(己)토 일간이 사(巳)월에 태어나면 월지가 정인이다.

경(庚)금 일간이 축(丑), 미(未)월에 태어나면 월지가 정인이다.

신(辛)금 일간이 진(辰), 술(戌)월에 태어나면 월지가 정인이다.

임(壬)수 일간이 유(酉)월에 태어나면 월지가 정인이다.

계(癸)수 일간이 신(申)월에 태어나면 월지가 정인이다

 

이처럼 인수는 학문의 성이다. 그러나 운에서 재운이 오면 탐재괴인(貪財壞印)이라고 하여 재물을 탐하다가 학문을 망치는 경우가 많다.

한창 공부할 나이의 자라나는 학생에게 재운이 오면 연애를 하거나 돈에 관심이 많아 공부가 잘 되지 않는다. 그리고 학문을 하는 학자가 재운이 오면 돈과 이성에 눈이 어두워진다. 이때는 남성의 경우는 돈과 여자를 밝히다가 명예에 먹칠을 하고, 여성의 경우에는 돈을 밝히다가 망신을 당한다. 모름지기 학자는 재운이 오면 여자와 재물을 조심해야 된다.

 

그리고 월지가 정인이고 다른 곳에 편인이나 정인이 3개 이상 있는 사람들은 오히려 공부도 잘 못하고 총명하지도 않고 인품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어머니 복도 없다.

모자멸자(母慈滅子) 또는 모다멸자(母多滅子)라는 말이 있다.

즉 어머니가 너무 자애로워 위엄과 권위가 없거나, 어머니가 너무 간섭이 많으면 자식을 망친다는 말이다. 흔히 학교에서 이러한 경우를 볼 수 있다. 마마보이(mama boy)나 마마걸(mama girl)이다. 이들은 어머니에게 지나치게 의존적이다. 이는 본인의 사주도 있겠지만 엄마의 지나친 과잉보호가 빗어진 것인데 자립심이 없고 혼자서 의사결정을 하지 못한다. 모든 것을 다 어머니에게 물어보고 결정을 한다. 이러한 어머니들이 자식 교육을 망치게 된다.

내 자식이 귀하다고 해서 지나치게 사랑을 주면 그것이 오히려 자식에게는 독이 될 수 있음은 모든 부모들은 기억해야 한다. 자녀를 올바르게 기르고자 한다면 어릴 때는 적절한 통제를 배우게 하고, 성장해 감에 따라 자율과 자유의 범위를 점차적으로 넓혀 주어야 한다. 그래야 독립된 인간으로 성숙해 갈 수 있다

출처 : 구암등산카페
글쓴이 : 구암(具東寅)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