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습요통
허리에 시린 통증과 무거움을 느끼며, 움직임이 부자유스러워지면서 증상이 점점 가중된다.
누워서 휴식을 취해도 증상이 경감되지 않으며, 흐린 날씨나 비가 올 때는 증상이 더욱 심해진다.
설태는 끈적거리면서 백색을 띤다.
한습의 사기가 요부에 침입하면 경락의 순환에 장애를 가져와 통증을 유발하게 된다.
한사의 수인하는 성질과 습사은 응체하는 성질 때문에 허리의 시린 통증과 무거움을 느끼게 되며,
그 움직임이 부자유스럽게 된다. 습은 음의 사기여서 양을 얻어야만 정상적인 운행을 시작할 수 있는 것이다.
누워서 휴식을 취하면 습사는 더욱 정체되어 통증이 경감되지 않는 것이다.
차가운 기운을 받거나 비가 내리는 경우는 한습의 사기가 더욱 발동하여 요통이 극렬하다.
◐ 습열요통
허리부위의 은근한 통증이 있고, 통증부위는 열감을 겸한다.
날씨가 따뜻해 지거나 혹은 우천일 때는 통증이 가중하고, 활동 후에나 가벼워진다.
소변이 시원하지 않고 붉으며, 설태는 끈적한 황색이고 맥은 유삭 혹은 현삭하다.
습열의 사기가 허리를 침입하여 근맥이 약해지고 경기가 통하지 않아서 허리부위에 열감을 겸한 은근한 통증이 있다.
날씨가 따뜻해 지거나 우천이면 열이 많아지고 습이 많아져 기혈의 소통을 장애하여 통증이 가중된다.
활동 후에는 기혈이 소통되어 습이 체하는 것을 막아 통증이 경감된다.
습열이 방광에 침입하면 소변이 시원하지 않고 붉은 색인 색깔이 된다.
설태가 끈적한 황색과 맥이 유삭한 것은 습열의 표현이다.
◐ 어혈요통
요통은 마치 바늘로 찌르는 듯한 자통이 있고 그 부위는 고정되어 있으며 낮에는 가벼우나 밤이면 통증이 심해진다.
증상이 가벼울 때는 허리를 바로 펴기가 불편하고 증상이 중할 때는 허리를 돌리기가 곤란하며,
통증부위를 접촉하기를 꺼린다. 설질은 암자색이거나 혹은 어혈반점이 있고, 맥은 삽하다.
어혈이 경락의 순행을 장애하여 기혈이 통창하지 못하여 마치 바늘로 찌르는 듯한 자통과 그 부위가 고정적인
특징을 가진 요통을 발병한다.
설질이 암자색이거나 혹은 어혈반점이 있고 맥이 삽하고 증상이 낮에는 가벼우나
밤이 되면 중한 것은 어혈이 내정한 표현이다.
◐ 신허요통
하체에 힘이 없고, 허리가 시큰거리는 통증이 주요 증상이다. 안마를 하면 시원해지고, 허리와 무릎관절에
힘이 없으며, 무리하게 활동한 후에는 증상이 악화되고 누워서 휴식을 취하면 증상이 가벼워진다.
만약 신양이 허하면 아랫배가 불편하고 당기며, 얼굴은 누렇고 핏기가 없으며, 수족이 차갑고 무력하며,
혀는 담하고 맥은 침세하게 나타난다.
만약 신음이 부족하면 가슴에 열이 있어 답답하거나 불면증이 생기고, 인후가 건조하며 손과 발에 열이 난다.
혀는 붉고 설태는 적으며, 맥은 현세삭하다.
허리는 신의 부이고, 신은 골수를 주관한다.
그래서 신의 정기가 허하면 허리의 근맥과 뼈가 영양을 잃어 힘이 없고 은은한 통증이 생기며 지압과 마시지를
하면 증상이 가벼워지는 허증이 생긴다.
심한 노동으로 기를 상하면 매번 몸을 무리할 때마다 통증이 생기며, 휴식을 하고 나면 증상이 사라진다.
만약 신양이 허하여 근맥을 따뜻하게 하지 못하면 아랫배가 불편하고 당기고, 사지가 온양을 얻지 못하여
수족이 차갑게 된다. 그리고 면색이 누렇고 핏기가 없으며, 혀는 담하고 맥이 침세한 것은 모두 양허의 증후이다.
움직임이 많은 운동을할 때에는 알맞은 신발을 선택해야 발, 무릅, 허리통증을 예방하게 된다.
'건강의비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골다공증 (0) | 2009.12.29 |
---|---|
[스크랩] 건강이 나빠지는 것을 알리는 신호들 (0) | 2009.12.29 |
[스크랩] 한방베개(약침)만드는법 (0) | 2009.12.29 |
[스크랩] 심근경색과 진심통 (0) | 2009.12.29 |
[스크랩] 한방화장품에 쓰이는 약초 (0) | 2009.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