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행의 생을 공부해야 하는 이유는 그 생의 모습이나 생과 불생의 작용이 인간사에 많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서 장사를 하는 사람에게 필요한 것은 식상생재 하는 것인데, 이 식상 생재가 잘되는 목생화 수생목의 경우가 식상생재일때 장사를 해서 쉽게 돈을 번다거나, 돈을 버는 능력이 뛰어난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수일간의 경우 기본적으로 수생목이 잘되고 목생화가 잘되니, 사주에 수화가 존재하면, 쉽게 돈을 벌수 있는 것이다.
화일간의 경우 화생토, 토생금이 잘 이루워 지지 않고 조건이 필요하게 되니, 그 조건이 없으면 장사로 돈벌기는 어려울 것이다.
화생토가 잘 되려면, 일단 수 라는 관의 조절과, 생금하려는 의지가 있어야 하니 금이라는 오행이 있어야 한다.
그래야 내가 활동하는 것이니, 관이라는 자격을 취득하거나, 사업자 등록, 또는 장사하는 자리가 충족되어야 하고, 이게 돈이 된다고 생각 되어야지만 식상을 만들어가는 것이니, 여러가지 고민을 해야한다.
또한 토생금이 되기 위해서는 목의 소토와, 수의 생수 작용이 있어야 하고, 화의 보조작용이 있어야 토생금이 되는 것이니 일간 화의 입장에서, 돈을 벌기위해, 목이라는 인성, 계약, 지식, 아이디어, 이런 것이 있어야 하고, 수라는 관 즉 자리, 자격, 등이 있어야 한다. 또한 화라는 비견의 협조가 있어야 돈을 벌수 있으니 화일간이 혼자서 사업을 하거나 장사를 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다.
사주 원국에 이러한 것이 만들어져 있는 사람은 어떻게 해서든지 혼자서 장사를 할 수 있겠지만 이러한 것이 없다면 어려울 것이다.
재생관의 측면을 볼때도 마찬가지 이다. 화일간의 재생관은 금생수를 하기 위해서, 화라는 비견 동료들의 인정이 필요하고, 목이라는 인성 지식이나 능력이 필요할 것이다.
오행의 생이나 불생은 통변상으로 이렇게 나타난다. 그 일이 잘 될 수 있느냐 없느냐. 언제쯤 되겠느냐? 또는 무엇이 필요 하겠느냐 하는 것 등....
따라서 사주를 공부할때 등한시 하지 말아야 할 것이, 오행의 상생이며, 또 상생을 위한 상극의 과정이다.
그러고 나서 이 오행의 상생과 상극이 어디에 이용되는지를 생각해 봐야 할 것이다.
격국론적으로 이러한 상생이 이루워 진다면, 사회성에 있어서 직업이 튼튼한지, 회사를 잘 다닐수 있는지를 알수 있고, 억부론적으로 본다면 생활 전반에서, 인간관계가 좋은지, 돈을 잘 버는지를 알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오행의 순환법칙은 필연적으로 사람의 등급을 만들고, 그 등급에 따라서 돈을 버는 그릇의 크기가 정해진다거나, 노는 물, 즉 레베루가 정해지게 된다.
오행의 순환을 제대로 공부하고, 격국론을 공부하면, 격의 성패와 용신의 강약에 따른 직업구분이 쉬워질 것이고, 언제 승진을 하고 언제 돈을 버는지 쉽게 알수 있을 것이다.
또한 억부를 보는데 있어서도 이러한 오행순환이론을 잘 알게 되면, 손쉽게 사주를 볼 수 있을 것이니 어려운 공부이긴 하지만 기본기라도 익혀가면 될 것이다.
이것을 공부하는데 있어서는....창광김성태선생님의 자료와, 화풍정님의 자료를 참조하면 어렴풋이 감을 잡을 수 있을 것이고, 이 감만 잡아도 사주보기가 한결 쉬워질 것이다.
위험한 발상 : 오행의 순환이 3개 이상이 되면 1등급으로 보고, 2개정도이면 2등급으로 보고, 1개정도이면 3등급으로 보고 나머지는 4등급 쯤으로 보자.
1등급은 SKY정도의 학벌 레벨로 보고, 2등급은 2등급대학 정도로 보고, 3등급은, 지방대 수준으로 보자.
4등급은 전문대이하 수준으로 레벨을 정해놓고 보면, 어느정도 가닥이 잡힐듯하다.
------------------------------
이하 창광 김성태님 자료 발췌
- 相生이란 순환하는 것을 말합니다. 不生하는 것은 멈추거나 늦는 것을 말하니 不生하는 것을 알면 相生하는 것은 저절로 알 수 있겠죠. 不生하는 것은 相生케 하여야 멈춰진 것이 진행되게 되는 것입니다.
기본적으로 음보다는 양이 더 생을 잘합니다.
생을 못한다는 것은 약하거나, 많거나, 합거 되거나, 충거 되었을때는 잘 못합니다.
하지만 생하지 않는 것을 생조 해주거나 제거하거나 합화 해주거나 설해주면 다시 상생을 합니다.
양간은 기본적으로 생을 잘 해주는데 음간이 생을 하려면, 먼저 튼튼해야 하니 천간에 음간이 지지에 근을 내려야 생을 간신히 하고, 너무 강하게 있으면 극제를 해주어야 생을 잘하게 됩니다.
또한 한난조습의 영향을 받으니 너무 차가우면 공기가 상승하지 못하듯 오행도 승하지 못하고, 너무 따뜻하면, 기운이 내려오지 못하니 오행도 강하지 못합니다. 또한 너무 건조하면 만물이 생하지 못하고, 너무 습하면, 거둬들이지 못하니 온도와 습도가 맞아야 합니다.
** 干支의 相生
1. 干
甲-丙은 상생
乙-丙(丁)은 불생 金用
丙-戊은 상생
丁-戊(己)는 불생 - 金用
戊-己의 庚辛상생은 火必用
庚-壬은 상생
辛-壬(癸)는 불생 - 火用
壬-甲은 상생
癸-甲(乙)은 불생 - 火用
2. 支
寅 - 午상생, 巳불생(庚,丙 투간)
卯 - 午 불생(亥未의합, 金의 制)
辰의 生化는 木火旺
巳 - 丑(丙庚辛壬癸투간하면 生化), 辰상생(甲乙투간하면 生化), 戌(庚辛투간하면 生化), 未(庚辛투간하면 生化)
午 - 辰(庚甲투간하면 生化), 未(庚투간하면 生化), 戌(庚투간하면 生化), 丑(丙壬癸투간하면 生化)
未 - 生化는 火金이 旺
申 - 子상생, 亥불생(丙甲투간하면 生化
酉 - 子불생(丙巳이면 化生), 亥불생(丙巳甲이면 生化)
戌 - 生化는 金水旺
亥 - 卯상생, 寅불생(庚申丙이면 生化)
子 - 卯불생(庚申丙이면 生化), 寅불생(庚申丙이면 生化)
丑 - 生化는 水木의 旺
.
3. 干支
甲-子는 不生(丙庚申이면 生化)
甲-午는 相生
乙-亥는 不生(丙卯未이면 生化)
乙-巳는 不生(庚이면 生化)
丙-戌은 相生
오행의 생생
사주에서 火일간이 오행이 진정한 생이 디지 않는 경우 즉 木이 없어 土가 소토되지 못하고 토생금이 되지 않아 오히려 金기를 매장시킨다면 재성운에 투자할 조건이 마련되는데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토생금이 잘 되지 않으니 식신생재가 이루어 질 것같은 육신적인 착각에만 사로잡혀 실패하게 된다.
*오행의 생장수장과 접목운
辰은 목이 있고 수가 있어야 화로 진행한다
未는 화가 있고 수가 있어야 금으로 진행한다
戌은 금이 있고 화가 있어야 수로 진행한다
丑은 수가 있고 화가 있어야 목으로 진행한다
진행하는 오행이 기신이면 쓸모없는 짓을 하니 망하게 되며 진행하는 오행이 희신이라도 준비된 것이 없으면 빈 수레일 뿐이다.
* 오행은 필요한 극과 생이 있어야 움직인다.
목생화 하려면 금이 필요하다. 화생토 하려면 금수와 진토가 필요하다
토생금 하려면 습토는 목화가 필요하고 건토는 수가 필요하다
금생수 하려면 화가 필요하다
수생목 하려면 화토가 필요하다
*필요극
목생화 하는데 금이 필요극이다.
굴절을 막기 위함이다. 오래 걸리고 힘들다. 싹은 묘월에 속고 성목은 축월에 가지치기 한다.
화생토 하는데 수가 필요극이다.
확산을 방지한다. 전문가적 성질을 키워준다. 토생금 하는데 목이 필요극이다.
토생금의 목적은 금생수를 하기 위함이다. 흩어지게 하기 위함이다. 토가 두터워지는 것을 막는다.
토가 두터워지면 매금되어 금생수 하지 못한다.
금생수 하는데 화가 필요하다. 포용력을 기르게 한다. 금은 껍질의 품질을 좋게 한다.
수생목 하는데 토가 필요하다 ( 축월의 작용 ) 음에서 양으로 변화를 하기 위함이다.
응집되고 응고된 수를 건드려 이완시킨다. 화만 있으면 키울수는 있으나 우선 이완되지 않는다.
-임신은 되지만 출산이 어려워 지는 경우
필요극에 의해서 형태가 만들어 진다
形이 만들어진 뒤에 生이 시작된다.
寅申相化 - 인목은 종하는 화를 생하고, 신금은 횡하는 수를 생한다.
'명리학의기초.통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오행으로 보는 이성 관계 (0) | 2012.05.25 |
---|---|
[스크랩] 오행의 변화 (0) | 2012.05.25 |
[스크랩] 통변자료 - 창광님 (0) | 2012.05.23 |
[스크랩] 통변모음 (0) | 2012.05.23 |
[스크랩] 대운과 세운의 통법법 (0) | 2012.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