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906)
은장팔진도
구성구궁통변
구성구궁통변
구성구궁통변
구성구궁통변
기호 감정 명령어 이모티콘 명령어 이모티콘 궁시렁 ごご (ε ) 다짐 Q(^.^Q) 뜨아 ^.^ㆀ 랄라라 ^o^~~♬ 만족 ^0^ 맛간눈 Θ _ Θ 뭔말 (?.?) 몰라 (?.?) 미안해 m(_ _)m 방글 (^-^) 부끄러워 (*^o^*) 삐짐 `-_-' 살려줘 ↖(`o')↗ 수줍어 (x-x;) 술래 ☞_☜ 슬퍼 TmT 승리 (^_^)V 아래 (.)_(.) 아이좋아 ))))))((( q ^ . ^ p * O * 안녕 ^.~ 안녕하세요 (-.-) (_ _) (-.-) 왕맛간눈 ご ご 엉엉 ㅠ.ㅠ 옹 -_-a 인사 (^_^)/ 윙크 (^.*) 응큼 ご,,ご 정말사랑해 *♥o♥* 조아조아 ^____^ 졸려 (Z_Z) 추워 {{(>_ 한잔 ( ^^)/U☆U\(^^) 화나 (`.') 황당 (?.?) 후다닥 (ㆀㅡ,...
[스크랩] 일주별 심리분석 ㅡㅡ 일주별 심리분석 ㅡㅡ 甲木(갑목)의 표면심리는 비견이고 내면심리는 편재에 해당한다. 1. 甲子(갑자) 비견성과 정인성 = 수동성과 직관력 직관력에 대하여 강하게 밀고 나가는 성분 2. 甲寅(갑인) 주체성이 탁월하다. (비견+비견) 연구분야에서 독보적인 능력을 발휘한다. (식신+편재) 3. 甲辰(갑진) 풍류기질이 있다(한 바람한다) ---> 지장간의 戊土(무토) (비견+편재) 사업이나 유통업(독립적 형태) 편재적 독재가 강한 성격이다. 자신의 주장을 강력히 밀고 나가는 성분 ---> 지장간의 乙木(을목)(비견+겁재) 4. 甲午(갑오) 자기의 재능을 과시하는 성분 (비견+상관) 육십갑자중 상관 성이 가장 두드러 진다. 보통은 사람을 무시하나 자신보다 월등한 사람에겐 완전 복종한다. 가장 오버해서 떠들어 댄다..
[스크랩] 통변(通變)의 기준 사주를 본다는 것은 命을 어떻게 해석해야 할 것인가를 말하는 것이다. 이것을 通變이라 한다. 通은 기본원리로 시대나 상황과 상관없이 변하지 않는 것을 말하고 變이란 그 기본원리를 응용하여 시대와 상황에 맞게 변용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通을 하지 않고 變을 한다는 것은 어린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