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동의보감 내경편

(30)
[스크랩] 꿈[夢] 꿈[夢] 정신이 꿈이 된다[魂魄爲夢] 음사는 꿈을 꾸게 한다[淫邪發夢] 5장이 허하거나 실하면 꿈을 꾼다[五藏虛實爲夢] 양기가 드나드는 데 따라 자거나 깨어난다[陽氣之出入爲寤寐] 정신이 얼떨떨하고 잠이 많은 것[昏沈多睡] 허번으로 잠을 자지 못하는 것[虛煩不睡] 마음이 들떠서 잠을 자지 못하는 ..
[스크랩] 목소리[聲音] 목소리[聲音] 목소리는 신에서 나온다는 것[聲音出於腎] 목소리를 듣고 병증을 갈라내는 것[聽聲音辨病證] 갑자기 목소리가 나오지 않는 것[卒然無音] 잡병으로 목이 쉰 것[因雜病失音] 궐기로 벙어리가 된 것[厥氣爲 ] 벙어리에는 두 가지가 있다[ 有二] 목 쉰 소리[聲嘶] 신겁증은 목 쉰 것과 비슷하다[..
[스크랩] 언어(言語) 언어(言語) 폐는 소리를 주관하여 말이 되게 한다[肺主聲爲言] 말을 허투루 하는 것[言語 妄] 벙어리가 되어 말을 하지 못하는 것[ 不得語] 담이 막히거나 망혈이 되어도 또한 말을 하지 못하게 된다[痰塞亡血赤爲 ] 맥 보는 법[脈法] 정성[鄭聲] 말소리가 약한 것[言微] 외치는 것[呼] 웃음[笑] 치료법[治..
[스크랩] 진액[津液] 진액[津液] 몸 안에 있는 진액[身中津液] 신은 액을 주관한다[腎主液] 맥 보는 법[脈法] 땀은 습열 때문에 나온다[汗因濕熱] 저절로 나는 땀[自汗] 식은땀[盜汗] 어린이 식은땀[童子盜汗] 머리에서 땀이 나는 것[頭汗] 심한(心汗) 손발에서 땀이 나는 것[手足汗] 음낭부위에서 땀이 나는 것[陰汗] 혈한(血汗..
[스크랩] 담음(痰飮) 담음(痰飮) 담과 연, 음 세 가지는 같지 않다[痰涎飮三者不同] 담과 음은 맑고 흐린 것으로 갈라본다[痰飮分淸濁] 담에 대한 왕은군의 이론[王隱君痰論] 8가지 음병이 있다[飮病有八] 1) 유음(留飮) 2) 벽음(癖飮) 3) 담음(痰飮) 4) 일음(溢飮) 5) 현음(懸飮) 6) 지음(支飮) 7) 복음(伏飮) 10가지 담병이 있다[痰病..
[스크랩] 5장(五臟)과 6부(六腑) 5장(五臟)과 6부(六腑) 의사는 반드시 5장 6부를 알아야 한다[醫當識五臟六腑] 장부를 음과 양으로 가른다[臟腑陰陽] 장과 부는 작용이 다르다[臟腑異用] 장과 부는 짝이 있다[臟腑有合] 5장은 7규와 통한다[五臟通七竅] 5장에 속한 기관이 있다[五臟有官] 5장이 작고 큰 것이 있다[五臟有小大] 장에는 또한..
[스크랩] 간장(肝臟) 간장(肝臟) 간장의 형태[肝形象] 간의 위치[肝部位] 간이 주관하는 날짜[肝主時日] 간에 속한 것들[肝屬物類] 간이 크고 작은 것[肝臟大小] 간이 상한 증상[肝傷證] 간병의 증상[肝病證] 간병의 허증과 실증[肝病虛實] 간병이 경해지고 중해지는 것[肝病間甚] 간병을 치료하는 법[肝病治法] 간기가 끊어진..
[스크랩] 심장(心臟) 심장(心臟) 심장의 형태[心形象] 심장의 위치[心部位] 심이 주관하는 날짜[心主時日] 심에 속한 것들[心屬物類] 심장이 크고 작은 것[心臟大小] 심이 상한 증상[心傷證] 심병의 증상[心病證] 심병의 허증과 실증[心病虛實] 심병이 경해지고 중해지는 것[心病間甚] 수소음은 수혈이 없다[手少陰無輸] 심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