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原文】生方怕動庫宜開。敗地逢沖仔細推。
생방은 움직이는 것을 두려워하고 창고는 열어주는 것이 좋다. 패지가 충을 만나는 것은 자세히 살펴보아야 한다.
【原注】寅申巳亥生方也。忌沖動。辰戌丑未四庫也。宜沖則開。子午卯酉四敗也。有逢合而喜沖者。不若生地之必不可沖也。有逢沖而喜合者。不若庫地之必不可閉也。須仔細詳之。
생방이란 인신사해인데 충하면 좋지 않다. 진술축미는 사고인데 충하여 열어주는 것이 좋다. 자오묘유는 사패인데 여기서는 합할 때 충하여 주면 좋은 것으로서 생방을 충하면 좋지 않다라는 것과는 다르다. 충을 받을 때 합을 좋아하는 것이 있는데 창고는 닫아 놓으면 안 된다는 것과는 다르다. 그러니 반드시 자세히 살펴보아야 한다.
【任氏曰】舊說云. 金水能沖木火. 木火不能沖金水. 此論天干則可. 論地支則不可. 蓋地支之氣多不專. 有他氣藏在內也. 須看他氣乘權得勢. 卽木火亦豈不能沖金水乎. 生方怕動者. 兩敗俱傷也. 假如寅申逢沖. 申中庚金. 剋寅中甲木. 寅中丙火. 未嘗不剋申中庚金. 申中壬水. 剋寅中丙火. 寅中戊土. 未嘗不剋申中壬水. 戰剋不靜故也. 庫宜開者. 然亦有宜不宜. 詳在雜氣章中. 敗地逢沖仔細推者. 子午卯酉之專氣也. 用金水則可沖. 用木火則不可沖. 然亦須活看. 不可執一. 倘用春夏之金水. 則金水之氣休囚. 木火之勢旺相. 金水豈不反傷乎. 宜參究之.
옛말에 금수(金水)는 목화(木火)를 충할 수 있으나 목화는 금수를 충하지 못한다고 하였는데 이것은 천간을 논할 때는 맞는 말이지만 지지를 논할 때는 그렇지 않다. 지지의 기운은 한가지로 되어 있지 않고 여러 기운들이 그 안에 저장되어 있으니 반드시 그 기가 힘이 있고 기세가 있는가 없는가를 잘 살펴본다면 어찌 목화가 금수를 충할 수 없다고 할 수 있겠는가!
인신사해인 생방(生方)이 움직이는 것을 두려워한다는 것은 상대가 모두 손상을 입기 때문이다. 가령 인목과 신금이 서로 충한다고 할 때 신금 속에 있는 경금이 인목 속에 있는 갑목을 극하면 인목 속에 있는 병화가 신금 속에 있는 경금을 극하지 않을 수가 없다. 그러면 신금 속의 임수가 인목 속의 병화를 극하면 인목 속의 무토는 또 신금 속의 임수를 극하지 않을 수 없다. 이렇게 서로 싸우고 극하여 조용하지 않기 때문에 움직이는 것을 두려워한다고 한 것이다.
창고는 열어 주는 것이 좋다고 하였지만 실제로는 열어서 좋은 것이 있는가 하면 좋지 않은 것도 있다. 상세한 것은 잡기장(雜氣章)에서 서술하기로 한다.
자오묘유인 패지(敗地)가 충하는 것을 자세히 살펴보아야 한다는 것은 자오묘유의 기는 한가지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금수(金水)가 용신일 때는 충해도 되지만 목화(木火)가 용신일 때는 충해서는 안 된다. 그러나 이것도 융통성 있게 봐야 하지 고정 불변하게 봐서는 안 된다. 만약 봄이나 여름의 금수라고 하면 금수의 기가 휴수(休囚)하고 목화의 기세가 왕상하니 이때는 금수가 오히려 손상을 받게 될 것이다. 그러니 자세히 연구하여 판단해야 한다.
癸 癸 壬 甲
亥 巳 申 寅
庚 己 戊 丁 丙 乙 甲 癸
辰 卯 寅 丑 子 亥 戌 酉
秋水通源. 金當令. 水重重. 木囚逢沖. 不足爲用. 火雖休而緊臨日支. 况秋初餘氣未熄. 用神必在巳火. 巳亥逢沖. 羣刦紛爭. 所以連剋三妻. 無子. 兼之運走北方水地. 以致破耗異常. 至戊寅己卯. 運轉東方. 喜用合宜. 得其溫飽. 庚運制傷生刦. 又逢酉年. 喜用兩傷. 不祿.
가을의 물이 원천에 통하고 금이 월령에 임하고 물이 많은데, 목이 휴수하고 충을 받고 있어 용신으로 할 수 없다. 화는 비록 휴수이나 일지에 있고 또 초가을이라 여기가 아직은 꺼지지 않고 있어 용신은 필히 사화가 된다. 그러나 사화 용신이 해수와 충하고 많은 겁재와 다투어 싸우니 연이어 처 셋을 극하고 자식도 없었다. 거기다가 행운까지 북방의 수로 진행되니 재산손실이 대단하였다. 그러다가 무인과 기묘운이 동쪽으로 접어들면서 희신과 용신이 모두 좋아져 입고 먹는 것이 좋았으나 경금운이 되어서는 상관을 극하고 겁재를 생하는데 거기다가 또 세운 유금을 만나게 되니 용신과 희신이 모두 손상을 받아 세상과 이별하고 말았다.
壬 甲 癸 癸
申 寅 亥 巳
丁 戊 己 庚 辛 壬
巳 午 未 申 酉 戌
甲寅日元. 生于孟冬. 寒木必須用火. 柱中四逢旺水. 傷用. 無土砥定. 似乎不美. 妙在寅亥臨合. 巳火絶處逢生. 此卽興發之機. 然初運西方金地. 有傷體用. 碌碌風霜. 奔馳未遇. 四旬外. 運轉南方火土之地. 助起用神. 棄印就財. 財發數萬. 娶妾. 連生四子. 由是觀之. 印綬作用. 逢財. 爲禍不小. 不用就財. 發福最大.
갑인일주가 초겨울에 태어났으니 차가운 목은 반드시 화를 용신으로 해야 한다. 그런데 사주에 수가 왕하여 용신이 손상되어 있지만 그것을 막아주는 토가 없어 아주 좋지 않은 것 같다. 그러나 묘하게도 인목과 해수가 서로 합을 하여 사화가 절지에서 생을 만나게 되었는데 이것이 곧 흥성해 살아날 계기가 된다. 초운에는 서쪽의 금운이 되어 체용을 손상하니 많은 풍상을 겪고 바쁘게 돌아다녔어도 좋은 기회를 만나지 못했다. 그러다가 나이 40세가 지나자 행운이 남쪽의 화토로 되어 용신을 도와주니 인성을 버리고 재성을 선택하여 수만의 재산을 벌고 첩을 두어 연이어 자식을 넷이나 얻었다. 여기서 알 수 있듯이 인성을 용신으로 하였을 때는 재성을 만나면 그 재화가 아주 크지만 그것을 버리고 재성을 용신으로 한다면 그 복이 가장 크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戊 戊 丁 辛
午 子 酉 卯
辛 壬 癸 甲 乙 丙
卯 辰 巳 午 未 申
此傷官用印. 喜神卽是官星. 非俗論土金傷官忌官星也. 卯酉沖. 則印綬無生助之神. 子午沖. 使傷官得以肆逞. 地支金旺水生. 木火沖剋已盡. 天干火土虛脫. 以致讀書未遂. 碌碌經營. 然喜水不透干. 爲人文采風流. 精於書法. 更兼中運天干金水. 未免有志難申. 凡傷官佩印. 喜用在木火者. 忌見金水也.
이 사주는 상관이 많아서 인성을 용신으로 하고 관성을 희신으로 하는데 일반사람들이 말하길 토금(土金)상관에 관성은 기신이 아니라고 한다. 묘목과 유금이 서로 충하니 인성를 생하여 주지 못하고 자수와 오화가 서로 충하니 상관이 날뛰게 된다. 더구나 지지의 왕한 금이 수를 생하여 주니 목화가 충을 받아 모두 극을 당하여 천간의 화토가 허탈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 사람은 공부를 해도 성공하지 못하고 사업을 경영해도 장애가 많았다. 그런데 다행이 천간에 수가 투출되지 않아 문장을 잘 쓰고 풍류적인 인물이었고 서도에도 능숙하였지만 중년운의 천간에 금수가 오다보니 자신이 품은 뜻도 이루지 못했다. 무릇 상관이 인수를 지니는 상관패인격에서 용신과 희신이 목화라면 금수를 만나는 것은 좋지 않다.
壬 戊 辛 辛
戌 辰 丑 未
乙 丙 丁 戊 己 庚
未 申 酉 戌 亥 子
此造非支全四庫之美. 所喜者辛金吐秀. 丑中元神透出. 洩其精英. 更妙木火伏而不見. 純淸不混. 至酉運. 辛金得地. 中鄕榜. 後因運行南方. 木火並旺. 用神之辛金受傷. 由擧而進. 而不能選.
이 사주는 지지에 진술축미가 모두 있어 좋다는 것이 아니라 신금이 빼어난 기를 내 뿜고 축토속의 원신이 투출되어 그 정기를 설기하고 있는 것이 좋다는 것이다. 거기다가 더욱 묘한 것은 목화가 잠복되어 나타나지 않아 순수하게 맑고 혼탁하지 않는 것이다. 유금운에 이르러 신금이 득지하여 향시에 합격하였지만 그후 행운이 남쪽으로 진행되니 목화가 모두 왕하여 용신인 신금이 손상을 받아 추천은 되었으나 선발은 되지 못하였다.
己 辛 壬 戊
丑 未 戌 辰
戊 丁 丙 乙 甲 癸
辰 卯 寅 丑 子 亥
此滿局印綬. 土重金埋. 壬水用神傷盡. 未辰雖藏乙木無沖. 或可借用. 以待運來引出. 乃被丑戌沖破. 藏金暗相砍伐. 以至剋妻無子. 由此論之. 四庫必要沖者. 執一之論也. 全在天干調劑得宜. 更須用神有力. 歲運輔助. 庶無偏枯之病也.
이 사주는 인성이 많다보니 토가 두터워 금이 파묻히고 임수(壬水) 용신이 손상을 받고 있다. 미토와 진토에 비록 을목이 저장되어 있지만 서로 충하지 않았다면 그것을 빌려 사용할 수 있었겠지만 그렇지 못해 앞으로 행운에서 이끌어 내 주기를 기다릴 수밖에 없다. 나아가 술토와 축토의 충으로 그곳에 저장된 금이 암암리에 진토와 축토에 저장된 목을 벌목하고 있으니 처가 죽고 자식이 없었다. 이렇게 볼 때 사고는 반드시 충해야 한다는 말은 편견이라고 하겠다. 모든 것은 천간이 잘 조절되어 있어야 하고 용신이 힘이 있어야 하며 또한 세운과 행운에서 도와준다면 너무 한쪽으로 치우치는 병은 없게 된다.
'각종역술비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사주의 강함과 부드러움 (0) | 2009.12.12 |
---|---|
[스크랩] 진술축미충 (0) | 2009.12.12 |
[스크랩] 원수산서문(袁樹珊序文) (0) | 2009.12.12 |
[스크랩] 손씨서문(孫氏序文) (0) | 2009.12.12 |
[스크랩] 참고문 (0) | 2009.1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