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리(虛痢)
허리라는 것은 기운이 약하여 노곤하면서 음식이 잘 소화되지 않고 배가 약간 아프거나 몹시 아파서 힘을 주지 못하는 것이다[입문].
○ 활리(滑痢)와 허리 때에는 허해져서 참을 수 없이 설사[滑不禁]가 나는데 심하면 기혈(氣血)이 허탈된다. 혈이 허한 데는 사물탕에 인삼, 흰삽주(백출), 오이풀뿌리(지유), 가죽나무껍질(저백피)을 넣어 쓰고 기가 허한 데는 진인양장탕(眞人養藏湯)을 쓴다[입문].
○ 기가 허하여 대변이 콧물이나 언 갖풀(아교) 같은 데는 이중탕(理中湯)에 목향, 육계, 후박, 벌건솔풍령(적복령)을 넣어 쓴다[입문].
○ 기운이 없고 음식 먹기를 싫어하는 것은 허증(虛證)까지 겸한 것이므로 이때에는 기와 혈을 보하는 약을 써야 한다. 그러면 허해진 것이 회복되면서 이질도 저절로 낫는다[단심].
○ 이질이 오래되어 기혈(氣血)이 허약(虛弱)해진 데는 팔물탕(八物湯, 처방은 허로문에 있다)이나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 처방은 내상문에 있다)을 쓴다[회춘].
○ 오래된 이질 때에는 설사시키지 말아야 한다. 그것은 위(胃)가 허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조중이기탕이나 가미향련환을 쓴다[의감].
○ 오래된 이질 때 5가지 허한 증상[五虛證]이 나타나서 위험하게 된 데는 대단하환을 쓴다. 5가지 허증이란 것은 맥이 세한 것[脈細], 피부가 찬 것[皮寒], 기운이 적은 것[氣少], 대소변이 나오는 것을 참지 못하는 것[泄利前後], 음식을 먹지 못하는 것[飮食不入] 등이다. 만일 신좁쌀죽을 먹어서 설사가 멎으면 허해졌다고 하여도 살릴 수 있다[득효].
○ 허리와 한리(寒痢)로 항문이 빠져 나온[脫肛] 데는 가자피산을 쓴다[동원].
조중이기탕(調中理氣湯)
허리로 기운이 약해지고 피로하며 노곤한 것을 치료한다.
흰삽주(백출), 지각, 집함박꽃뿌리(백작약), 빈랑 각각 4g, 삽주(창출), 귤껍질(陳皮) 각각 3.2g, 후박 2.8g, 목향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 이 처방은 이질 치료 때 조리하는 약이다[의감].
가미향련환(加味香連丸)
허리(虛痢)와 구리(久痢) 및 여러 가지 이질을 다 치료한다.
황련 160g(오수유 달인 물에 담갔다가 볶은 것), 목향 40g, 아부용(啞芙蓉) 8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묵은 쌀로 쑨 풀에 반죽한 다음 녹두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20-30알씩 연육(蓮肉) 달인 물로 먹은 다음 이불을 덮고 자면 효과가 있다[입문].
대단하환(大斷下丸)
오랜 이질[久痢]로 자주 대변이 줄줄 나오고[滑數] 몸이 여위면서 피곤하며 허약해지는 것을 치료한다.
용골, 부자(싸서 구운 것), 백반(구운 것), 육두구(잿불에 묻어 구운 것), 굴조개껍질(모려, 달군 것), 가자피, 산석류피 각각 40g, 양강, 건강, 적석지 각각 30g, 족두리풀(세신) 15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식초에 쑨 풀에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알씩 좁쌀미음으로 먹는다[입문].
가자피산(訶子皮散)
허한(虛寒)하여 생긴 적백이질(赤白痢疾)로 항문이 빠져 나온[脫肛] 것을 치료한다.
앵속각(어미, 꿀에 축여 볶은 것), 귤껍질(귤피) 각각 2g, 건강(싸서 구운 것) 2.4g, 가자피 2.8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1첩으로 하여 빈속에 물에 달여서 찌꺼기[渣]째로 먹는다[동원].
허리라는 것은 기운이 약하여 노곤하면서 음식이 잘 소화되지 않고 배가 약간 아프거나 몹시 아파서 힘을 주지 못하는 것이다[입문].
○ 활리(滑痢)와 허리 때에는 허해져서 참을 수 없이 설사[滑不禁]가 나는데 심하면 기혈(氣血)이 허탈된다. 혈이 허한 데는 사물탕에 인삼, 흰삽주(백출), 오이풀뿌리(지유), 가죽나무껍질(저백피)을 넣어 쓰고 기가 허한 데는 진인양장탕(眞人養藏湯)을 쓴다[입문].
○ 기가 허하여 대변이 콧물이나 언 갖풀(아교) 같은 데는 이중탕(理中湯)에 목향, 육계, 후박, 벌건솔풍령(적복령)을 넣어 쓴다[입문].
○ 기운이 없고 음식 먹기를 싫어하는 것은 허증(虛證)까지 겸한 것이므로 이때에는 기와 혈을 보하는 약을 써야 한다. 그러면 허해진 것이 회복되면서 이질도 저절로 낫는다[단심].
○ 이질이 오래되어 기혈(氣血)이 허약(虛弱)해진 데는 팔물탕(八物湯, 처방은 허로문에 있다)이나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 처방은 내상문에 있다)을 쓴다[회춘].
○ 오래된 이질 때에는 설사시키지 말아야 한다. 그것은 위(胃)가 허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조중이기탕이나 가미향련환을 쓴다[의감].
○ 오래된 이질 때 5가지 허한 증상[五虛證]이 나타나서 위험하게 된 데는 대단하환을 쓴다. 5가지 허증이란 것은 맥이 세한 것[脈細], 피부가 찬 것[皮寒], 기운이 적은 것[氣少], 대소변이 나오는 것을 참지 못하는 것[泄利前後], 음식을 먹지 못하는 것[飮食不入] 등이다. 만일 신좁쌀죽을 먹어서 설사가 멎으면 허해졌다고 하여도 살릴 수 있다[득효].
○ 허리와 한리(寒痢)로 항문이 빠져 나온[脫肛] 데는 가자피산을 쓴다[동원].
조중이기탕(調中理氣湯)
허리로 기운이 약해지고 피로하며 노곤한 것을 치료한다.
흰삽주(백출), 지각, 집함박꽃뿌리(백작약), 빈랑 각각 4g, 삽주(창출), 귤껍질(陳皮) 각각 3.2g, 후박 2.8g, 목향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 이 처방은 이질 치료 때 조리하는 약이다[의감].
가미향련환(加味香連丸)
허리(虛痢)와 구리(久痢) 및 여러 가지 이질을 다 치료한다.
황련 160g(오수유 달인 물에 담갔다가 볶은 것), 목향 40g, 아부용(啞芙蓉) 8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묵은 쌀로 쑨 풀에 반죽한 다음 녹두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20-30알씩 연육(蓮肉) 달인 물로 먹은 다음 이불을 덮고 자면 효과가 있다[입문].
대단하환(大斷下丸)
오랜 이질[久痢]로 자주 대변이 줄줄 나오고[滑數] 몸이 여위면서 피곤하며 허약해지는 것을 치료한다.
용골, 부자(싸서 구운 것), 백반(구운 것), 육두구(잿불에 묻어 구운 것), 굴조개껍질(모려, 달군 것), 가자피, 산석류피 각각 40g, 양강, 건강, 적석지 각각 30g, 족두리풀(세신) 15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식초에 쑨 풀에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알씩 좁쌀미음으로 먹는다[입문].
가자피산(訶子皮散)
허한(虛寒)하여 생긴 적백이질(赤白痢疾)로 항문이 빠져 나온[脫肛] 것을 치료한다.
앵속각(어미, 꿀에 축여 볶은 것), 귤껍질(귤피) 각각 2g, 건강(싸서 구운 것) 2.4g, 가자피 2.8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1첩으로 하여 빈속에 물에 달여서 찌꺼기[渣]째로 먹는다[동원].
출처 : 구암등산카페
글쓴이 : 구암 원글보기
메모 :
'건강의비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담음으로 허리가 아픈 것[痰飮腰痛] (0) | 2009.12.29 |
---|---|
[스크랩] 담음으로 허리가 아픈 것[痰飮腰痛] (0) | 2009.12.29 |
[스크랩] 먹으면 약이 되는 음식 (0) | 2009.12.29 |
[스크랩] 몸안에 독을 풀어주는 음식 (0) | 2009.12.29 |
[스크랩] 신토불이 민간요법 (0) | 2009.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