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의비법

[스크랩] 곽옥(郭玉) 후한(後漢) 태의승(太醫丞)

곽옥은 후한(後漢) 낙성(雒城: 현재 사천성 광한(廣漢) 사람이다. 세세대대로 글읽는 집안이었으며 밥술이나 굶지않고 먹는 집안에서 태어났다. 열 다섯살 된 곽옥은 심성이 착하고 천성이 인후하여 그의 부친은 곽옥이 대부대귀(大富大貴) 한 것은 싫고 고향에서 평범한 의사가 되어 질병으로 고통받는 불쌍한 백성들을 치료해 주는 인술을 배우는 것을 희망했다.

그래서 곽옥의 부친은 곽옥을 데리고 그당시 명의 정고(程高)를 배알하러 갔다. 그리고 곽옥의 부친은 자기 아들이 장래 인술을 펼칠 수 있는 의사가 되는 것을 희망한다고 정고에게 말했으며 자기 아들 곽옥에게 의술을 가르쳐 달라고 간청했다.

이때 정고는 이미 환갑을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나이에 비하여 신체가 건강했다. 그리고 정고는 마침 자신의 의술을 전수할 인재를 찾고 있었다. 정고는 곽옥을 대면하고나서 곽옥이 나이에 비하여 점잖고 예절이 밝다는 것을 알았다. 정고는 곽옥이 의사로써 기본조건을 모두 갖추었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정고는 곽옥의 부친에게 즉시 답변을 해주지 않았다. 그렇지만 정고는 곽옥이 자기옆에 있는 것만은 허락해 주었다. 정고가 곽옥을 반년 동안 관찰하고나서 곽옥이 자기 제자로써 손색이 없다고 인정될때 정식으로 도제(徒弟)를 허락하겠으며 의술을 전수해 주겠다고 곽옥의 부친과 약속했다.

곽옥은 정고와 반년 동안 함께 생활하며 여러 단계의 시험을 거쳤다. 정고는 곽옥의 심지가 선량하고 천자총명하며 의학분야에 대하여 비상한 관심이 있어 열심히 배우려고 노력함으로 확실히 자신의 의술을 전수하기에 가장 이상적인 제자라고 믿었다.

정고는 곽옥에게 정식으로 입문(入門)의 예(禮)를 올리도록 했다. 그리고 자신의 의술을 전수해 주기 시작했다. 곽옥은 보물이 가득 묻혀있는 산을 오르는 것처럼 느꼈다. 곽옥은 정고로 부터 배울 것이 너무나 많음을 느꼈다. 정고는 자신의 반평생 동안 연구하고 임상을 통하여 경험한 의술과 옛날 자신의 스승이었던 부옹이 자기에게 전수해 준 의술까지 모두 곽옥에게 전수했다.

곽옥은 정신을 집중시켜 의학의 연구에 몰두했다. 10 년 동안 곽옥은 정고의 교육을 받는 중에 곽옥은 정고의 저서 방진육미법(方診六微法)과 음양불측술(陰陽不測術)을 열심히 연구하여 정통했다. 더불어 부옹의 침경진맥법(針經診脈法)도 능숙하게 자유자재로 응용할 수 있었다.

27 세 때 곽옥은 정식으로 간판을 내걸고 정확한 진단과 약석(藥石)치료로 어려운 질병에 걸린 환자들을 치유해 주었으며 가난한 백성들에게 특별히 그 처지가 되어 동정해 주었다. 그리고 치료비는 조금도 받지 않았다. 곽옥의 이름이 많은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게 되었으며 그의 의덕에 대하여 칭송이 자자했다.

그의 명성은 자연적으로 날로 날로 세상에 퍼져나갔다. 3 년의 짧은 시간안에 그의 명성은 전국에 퍼졌다. 당시 한나라 화제(和帝:서기89-105)가 즉위 하였다. 지방정부에서 곽옥을 천거하여 곽옥은 조정의 태의원(太醫院) 시의(侍醫)로 예를 갖추어 초빙(招聘)되었다. 조정내에 수 많은 의학전적에 접할 수 있는 기회가 있었기 때문에 그는 더욱 풍부한 의학지식을 흡수하여 그의 의술은 진일보 발전하게되었다.

곽옥은 사람됨됨이가 충실하고 온후하며 정직했다. 그는 태의원내에서 모든 의사(의사)에 대하여 주의깊고 신중하게 처리했으며 그 결과 얼마 지나지 않아 태의원 태의승(太醫丞)으로 승진하게 되었다. 그리고 곽옥은 조정내의 모든 의정업무(醫政業務)를 총관장하게 되었다.

 

 

화제는 곽옥의 의술이 신품(神品)의 경지에 들어가 있다는 소문을 들었지만 믿을 수 없었다. 그러던차에 화제는 한 가지 생각이 문득 머리속에 떠올랐다. 태감에게 지시하여 곽옥을 진궁(進宮)하라고 명하였다.

때는 이미 자정(子正)을 넘은 캄캄한 밤중이었다. 곽옥은 그때까지 등잔불 밑에서 의학전적을 열심히 탐독하고 있었다. 뜻밖에 임금이 신하를 불러 만나자고 명하므로 곽옥은 급히 의복을 갈아입고 태감을 따라 입궁(入宮)하였다. 원래 태감의 말에 의하면 폐하께서 병통(病痛)이 있다 하였다.

곽옥은 진궁후 화제가 침실안을 천천히 왔다갔다 걷고있는 것을 목격했다. 화제는 곽옥을 기다리고 있었다. 곽옥은 즉시 무릅을 꿇고 천자께 "신하 태의승 곽옥은 폐하의 부름에 늦었습니다. 성왕께옵서 소인의 죄를 용서하여 주시옵소서" 하고 상주(上奏)하였다.

화제는 "짐의 사랑하는 귀비가 병에 걸렸다. 그래서 너를 특별히 불러 치료케 하려는 것이다." 고 말했다. 곽옥은 "보잘것 없는 신하는 성왕의 분부에 따를 뿐입니다." 고 아뢰었다. 태감은 즉시 곽옥을 화제의 침실안으로 안내했다. 침실안에서 그윽하게 풍겨나오는 향기가 코를 찔렀다. 또 감미로운 음악이 마음속에 깊이 스며들어 신선한 느낌을 주었다. 그리고 침실안의 희미한 불빛은 정신을 몽롱하게 하였다. 침실안에는 아름다운 비단으로 만든 휘장이 드리워져 있었다.

태감이 친히 몸을 굽혀서 귀비에게 인사하며 "태의승이 도착되었습니다. 귀비께서 손을 휘장밖으로 내밀어 진맥을 받으십시요" 하고 아뢰었다. 침실안에서 아무런 대답이 없었다. 이윽고 곽옥은 휘장안을 향하여 "신하 태의승 곽옥이 귀비를 진맥하려 하오니 무례한 짓을 용서하시옵소서" 하고 상신하였다.

잠시 후 휘장안에 들어있는 귀비는 휘장틈 사이로 가냘프고 하얀 부드러운 손을 휘장밖으로 내밀었다. 곽옥은 태의승으로 승진할 때 까지 후비들의 병을 진찰하기 위하여 침궁(寢宮)안에 들어가 보기는 이번이 처음이었으므로 매우 긴장되고 불안한 심정이었다. 곽옥이 귀비의 오른손을 진맥한 후 곽옥은 두렵고 당혹한 표정이었다.

곽옥은 잠시 망설이다가 성왕을 향하여 "소인이 폐하께 아뢰옵기는 소인이 귀비의 왼손을 또 진맥해야 되는데 허가하여 주시겠습니까?" 하고 상주하였다. 화제는 고개를 끄덕이며 큰 소리로 "좋다!" 고 말했다. 휘장안에서 귀비의 왼손이 휘장밖으로 나왔다. 곽옥은 또 귀비의 왼손의 맥을 짚었다.

이번에는 화제가 곽옥옆에 가까이 앉아서 곽옥의 얼굴 표정을 살폈다. 곽옥은 의구심을 갖고 있는듯 했으며 잠깐 사이에 곽옥의 이마와 얼굴에서 식은땀이 주르르 흘러내렸다. 화제는 "곽경(郭卿)! 귀비에게 어떤 병이 있느냐?" 고 물었다.

 

곽옥은 "대단히 황공하옵니다. 빌어먹을 소인! 소인이 젊었을때 있던 병이 또 도지기 시작합니다. 그러므로......" 하고 화제를 향하여 아뢰었다. 화제는 곽옥이 무슨 말을 하고있는 것인지 매우 의심스러워 했으며 도무지 이해할 수 없었다.

그래서 화제는 "곽경! 네가 병이 들었단 말이냐?" 하고 곽옥에게 되물었다.

 

곽옥은 더듬더듬 말하며 "소인은 어렸을때 빈천한 집에서 태어났으며 젊은 시절 가난한 백성들의 질병을 돌볼때는 약만 쓰면 병이 치유되었었지요...." 하고 화제에게 아뢰었다.

화제는 곽옥의 말을 가로채며 "그래서 고관대작들의 병을 볼때는 무엇이 다르단 말이냐?" 하고 물었다.

 

곽옥은 "고관대작들의 병을 볼때는 때때로 너무 조심함으로 반복해서 고려하고 헤아려 따져보기 때문에 질병이 완전히 치유된 환자의 숫자는 단지 10 중 6,7 밖에 않되었습니다. 소인이 태의원에  입사(入仕)한 후 더욱 심해지고 있습니다. 오늘밤....오늘밤....귀비의맥이......" 하고 말을 더듬거렸다.

화제는 또 "그래서 너는 귀비에게 병이 없다는 말이냐?" 하고 물었다.

 

곽옥은 두다리를 사시나무 떨듯 덜덜 떨며 용기를 내어 "소인의 공적이 없음에 대하여 폐하께 용서를 빕니다. 귀비에게 병이 없습니다. 그런데..." 하고 말을 계속하려다 멈추었다.

 

화제는 "그런데....어쩧단 말인가?  거침없이 솔직하게 말해 보아라" 고 곽옥에게 말했다.

곽옥은 약간 주저하며 귀비의 진맥 결과에 대하여 "소인이 귀비의 맥을 짚고나서 희귀한 맥도 다 있구나! 하고 생각했습니다. 왜냐하면 귀비의 오른손 맥은 지극히 정상인데 왼쪽손의 맥은 남자의 맥이었기 때문에 소인이 판단력을 잃고 아리송하게 되었습니다." 고 아뢰었다.

화제는 곽옥의 말을 듣고 허! 허! 허! 큰 소리로 웃었다. 곽옥은 황상(皇上)의 웃음이 기뻐서 웃는 것인지 아니면 화가 나서 웃는 것인지를 분간할 수 없었다. 즉시 곽옥의 온몸에서 땀이 주르르 흐르고 머리털은 꽂꽂이 섰다. 그리고 곽옥은 자신의 팔다리와 온몸에 저림을 느끼며 오싹오싹 소름이 끼쳐옴을 느꼈다. 그래서 곽옥은 이마를 땅에대고 엎드려 계속 "빌어먹을 소인! 빌어먹어 마땅한 소인! 황공하옵니다" 고 화제에게 아뢰었다.

화제는 이와같이 놀란 곽옥의 모습을 보고 손을 흔들며 "일어나라! 곽경은 명실상부한 천하의 명의이며 신의(神醫)라는 칭호를 얻어 마땅하다" 고 말했다. 머리 끝에서 부터 발끝 까지 땀이 흠벅 젖어 있는 곽옥은 화제가 칭찬하는 소리를 듣고 정신이 버쩍들어 몸을 일으켰다.

그러나 곽옥은 화제의 칭찬하는 말속에 숨어있는 뜻을 그때까지 이해하지 못했다. 화제는 바로 옆에 서있는 태감에게 침실휘장을 높이 걷어올리라고 명령했다.

 

침실안에서 두 사람이 나타났다.

한 사람은 궁녀이며 또 한 사람은 십칠 팔세 쯤 되어보이는 태감이었다. 곽옥은 침실안에 들어있던 두 사람을 본 후 깜작놀랬다.

 

 

원래 화제는 곽옥의 의술이 신묘막측하다는 소문을 듣고 그의 의술을 시험해 보기 위하여 고의적으로 두 사람을 침실안에 감추어 두었었다. 화제의 마음속에 있었던 큰 바윗덩이가 없어진 느낌이 들었다.

그리고 화제는 기쁨을 감추지 못하며 "짐은 네가 말한 것 중 명백하지 못한 것이 하나 있다. 네가 고관대작들의 병을 볼때 지나치게 세심함으로 인하여 질병 치료에 있어서 차질이 있다고 말했는데 그것은 무엇 때문인지 알고 싶다." 고 말했다.

곽옥은 이제 마음이 좀 누그러져 대담하게 이야기할 수 있게 되었다.

 

곽옥은 "소인의 의견으로는 고관대작들의 질병 치유율이 낮은 이유는 대략 네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고관대작들은 높은 지위에서 매일 부유한 생활을 누리고 사치스럽고 안일하게 지냄으로 신체가 사실은 허약합니다. 그래서 보통 사람들과 인체 생리상태가 좀 다릅니다. 어떤 약물에 대하여 그 약물의 부작용을 감당하지 못하기 때문에 약량을 조절하기 어렵습니다. 그러므로 예기치 않은 효과를 냅니다.

둘째 고관대작들은 자부심이 대단히 강하기 때문에 의사들을 완전히 신임하지 못합니다. 그러므로 의사들이 지시하는 것을 실천하지 않으며 금기(禁忌)사항도 준수하지 않습니다.

셋째 고관대작들의 매일 생활이 부유하므로 신체를 보양하는 방법에 귀를 기울여 듣지 않으며 알려고도 하지않고 신체를 함부로 남용하여 손상을 입힘으로써 병에 대한 저항력이 약합니다. 그래서 일단 질병에 감염되면 병정이 복잡하여 치료하기 힘듭니다.

넷째 의사가 고관대작들을 진병할때 그들은 겁부터 집어먹고 의사가 실수할 까봐 몹시 두려워합니다. 침구술을 예로 들면 인체의 맥혈(脈穴)은 일푼(一分)의 착오가 생기면 효과가 없음을 그들은 잘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상이 비천한 신하의 우견(愚見)입니다. 폐하께서 살피심을 엎드려 빕니다." 고 화제에게 설명했다.

화제는 곽옥이 말을 끝마칠때 까지 잘 경청하였다. 그리고 매우 만족해 하였다. 화제는 곽옥의 의술이 고명할 뿐만 아니라 성격이 솔직하고 성실하며 티없이 깨끗함으로 곽옥을 높이 평가했다.

화제는 태감에게 명하여 곽옥의 마음에드는 옥(玉) 한 덩이를 하사하라고 하였다. 곽옥은 화제에게 무릅을 꿇고 조아려 최고의 경의를 표하고나서 출궁(出宮)할때 옥덩이를 다시 태감에게 반납하였다.

이상의 고사는 후한서(後漢書)에 기재되어 있으며 행림(杏林)의 아름다운 가화(佳話)로 지금까지 전해 내려오고 있다.

 

지금부터 일천 팔백 여년 전 동한시기 사천성 부강변의 조어노옹(釣魚老翁) 부옹밑에서 한의학 발전사상 중요한 지위를 차지하고 있는 정고가 배출되었고 또 정고 문하(門下)에서 곽옥이 배출되었다. 청출어람(靑出於藍)의 좋은 예이다.


출처 : 구암등산카페
글쓴이 : 구암(具東寅)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