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한시기(東漢時期 : 서기 25 년 - 서기 220년)에 정고 선생은 사천성 부강 부근에 있는 광한(廣漢)에서 태어났다. 17 세 때 부모를 여의고 천애의 고아가 되었다.
정고는 그때 부터 부잣집에 가서 소나 말을 먹여주고 밥을 얻어 먹었으며 때때로 임시 고용되어 남의 집 머슴살이를 하거나 날품팔이로 생계를 유지하였다.
정고는 마을에 유랑하는 신비인물이 가끔 나타난다는 소문을 들었다. 백발이 창창한 그는 남루한 의복을 입고 다니며 끼니때가 돌아오면 저자에 나가 걸식을 하고 강변으로 나가 낚시질을 한다. 그는 물론 집도 없고 정처없이 돌아다니며 허물어진 집안이나 부서진 사당이 그의 임시 거처란다. 그 노인의 이름과 내력을 아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마을 사람들은 그를 부옹(涪翁)이라고 불렀다. 그래서 그 노인의 이름은 자연적으로 부옹이 되어 버렸으며 그 또한 부옹이란 이름을 그대로 받아들였다.
천고마비 지절의 어느 날 오후 기괴한 일이 발생했다. 구대(邱大)라고 불리우는 농사군이 일을 마치고 밭두룩을 따라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부강가에서 활신선(活神仙)을 한분 만났다고 흥미진진하게 말했다. 구대는 밭에서 녹두를 수확하며 한나절을 보낸 후 매우 피곤함을 느꼈다.
원래 구대는 풍습병이 있다. 양쪽 무릅 관절이 붓고 쑤시며 아프기 시작했다. 그는 아픔을 참기 위하여 두주먹을 불끈 쥐고 이빨을 아둑 물고 있었다. 송곳으로 지르는 것과 같은 아픔을 느꼈다. 그래서 다른 날에 비하여 조금 일찍 그래도 해가 지기전에 일을 마치고 집으로 돌아오고 있었다.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부강변에 도착되었을때 백발을 휘날리는 노인이 큰 바위위에 앉아서 낚시질을 하고 있었다. 구대는 길만 쳐다보고 걷고 있었다. 너무나 통증이 심하기 때문에 다른 사람을 쳐다볼 마음의 여유가 없었다.
낚시질 하던 노인은 구대를 향하여 "어이! 여보시오! 당신이 걷는 모습을 보니 어떤 병이 있음이 틀림없오!" 하고 말을 걸었다. 구대는 걸음을 멈추고 힘없이 "그렇습니다. 온몸이 아프며 양쪽 무릅의 통증은 말로 표현할 수 없습니다." 고 대답했다. 노인은 낚싯대를 땅에 놓고 가슴속에서 두개의 석침(石針)을 꺼냈다.
그리고 노인은 "만일 당신이 원한다면 내가 당신의 병을 한번 치료해 주겠오" 하고 말했다. 구대는 사실 질병의 고통으로 부터 하루빨리 벗어나고 싶었다. 그래서 구대는 노인에게 "감사합니다. 어서 치료하여 주십시요" 하고 노인의 말에 쾌히 승낙하였다.
노인은 두개의 석침을 구대의 무릅에 찔렀다. 노인이 침을 놓자마자 통증이 경감됨을 스스로 느끼게되니 구대는 노인의 의술이 너무나 심오하여 이해하기 어려웠다. 노인은 구대에게 "이후로 두 세차례 침을 더 맞으면 완전히 치유될 것입니다." 고 말했다. 구대는 매우 기뻐하였으며 감사하다는 말과 함께 이마가 땅에 닿게 절하고 노인과 작별하였다.
집에 돌아오는 도중 만나는 사람마다 구대는 뜻밖에 노인을 만나 풍습병을 치료받았다고 말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구대의 말을 듣고 유랑 노인 부옹이라는 것을 알아차렸다. 그 당시 부옹 노인이 특별한 의술을 갖고 있다는 것을 아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구대는 그후로 부옹 노인을 찾아가 두 세차례 침을 더 맞고 다년간 지녀오던 지병은 말끔히 치유되었다.
한 사람이 열 사람, 열 사람이 백 사람, 입에서 입으로 전하여 많은 환자들이 부옹을 찾아와 치료 받았다. 부옹은 환자 한 사람 한 사람을 정성들여 치료해 주었다. 그러므로 그는 일개 걸인에서 귀빈이 되었다. 질병이 치유된 환자들은 서로 다투어 부옹을 모셔다 주연을 베풀어 융숭한 대접을 하였다.
정고는 이와같은 소문을 듣고 부옹을 앙모(仰慕)하기 시작했으며 "만일 내가 부옹의 의술을 전수 받으면 얼마나 좋을까? 한번 가서 만나봐야지!" 하고 혼자서 마음속으로 생각하였다. 그래서 정고는 즉시 부강가로 달려 나갔다. 이때부터 정고는 부옹에게 완전히 매료되었다. 부강가에 가보니 부옹의 그림자도 보이지 않았다. 왜냐하면 이미 부옹은 이웃 마을로 초청받아 환자를 치료하러 출타했거나 주연을 베풀어 주는 환자의 집에 초청이 되어 갔기 때문이었다. 혹은 산으로 채약하러 올라갈 수도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때 이후로 부옹은 시장에서 걸식하거나 부강변에서 낚시질을 하는 일은 없었다. 정고는 실망했다. 그러나 정고는 낙심하지 않고 볼일 보는 시간을 제외한 나머지 시간은 매일 강변으로 가서 부옹이 나타나기 만을 기다렸다.
정고는 어느 날 오후 부옹이 부강변에서 낚시질 하는 것을 발견했다. 두 사람은 전에 한번도 서로 대면한 적이 없었다. 정고는 부옹을 상면하자마자 한눈에 정고가 듣던대로 전기적(傳奇的) 인물이다는 것을 알아 볼수 있었다. 부옹은 백발이 성성하고 희끗희끗한 멋지게 난 구레나룻 수염을 갖고 있었으며 얼굴에선 붉은 빛이 나고 만면에 자상하고 인자한 미소를 지으며 친자식을 대면하는 것 처럼 친절하게 정고를 대해 주었다. |
'건강의비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순의자(殉醫者) 문지(文摯) (0) | 2009.12.26 |
---|---|
[스크랩] 태창공(太倉公)과 효녀(孝女) (0) | 2009.12.26 |
[스크랩] 곽옥(郭玉) 후한(後漢) 태의승(太醫丞) (0) | 2009.12.26 |
[스크랩] 의성(醫聖) 장중경(張仲景) (0) | 2009.12.26 |
[스크랩] 명의 성인(盛寅) (0) | 2009.12.26 |